윤지환 철학연구소 2010. 3. 19. 16:00

▶ 지혜문학서에 영향받은 잠언

인생을 살아가는 참 지혜를 찾겠다고 성경을 펼치는 기독교인들에게 잠언은 훌륭한 인생의 지침서 쯤으로 여겨지고 있다.

잠언은 과연 어떤 경전인가? 솔로몬이 기록했다고 알려지는 잠언은, 실제로는 수많은 유대인 저자에 의해서 주변국들의 지혜문학서의 영향 아래 기록된 것임이 분명하다.

고고학자들이나 비교문헌 학자들은 구약성경의 지혜서가 완성되기 수세기전부터 이웃 나라들에서 다양한 지혜서들이 존재하고 있었다는 점을 발견했다.

아울러 그 내용이나 형태에 있어서 구약성서 지혜서의 그것들과 유사한 점이 많이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이형원 /잠언, 전망성서주해 / 전망사 / 1993, P.15]

 

잠언은 31장으로 구성된 솔로몬의 격언(mishelei shelomoh)으로 불리는 일종의 금언(金言)의 모음으로 알려져 있는데, 유대인들은 예로부터 아랍, 이집트, 에돔, 바벨론, 시리아 지방에 정착하면서 그들의 지혜문학서에 영향을 받기 시작했다.

일상 생활에서 당하는 불의한 일들과 인간의 운명에 대한 성찰, 그리고 대화를 담은 일련의 작품들은 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의 문헌과 유대인들의 문헌에서 모두 찾아볼 수 있는 것들이다.[박요한 영식 신부 / 이스라엘의 지혜와 교훈,잠언/ 성바오로 출판사 / 1998, P.32]

 

잠언의 형식을 살펴보면 "내 아들아" 하는 식의 표현(1:8,15,2:1,3:1,11,21,4:1,10,20,5:1,7,20,6:1,6:20,7:1,8:32,20:27,23:15,23:19, 23:26, 24:13, 21, 27:11, 31:2)들이 계속되고 있는데, 이러한 형식은 바빌론과 이집트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잠언의 문체는 시문체로 씌여 졌으며, 주로 세가지 형태의 것으로 되어있는데 이는 첫째로 동의형(synonymous: 7:1,8:1), 그리고 대조형(antithetic: 10:5, 12:28), 또 하나는 종합형(synthetic: 1:10,18:13)이 있다.

일반적으로 잠언의 저자는 여러명의 저자가 있음을 알수 있다.

잠언은 다음의 구성부분을 7~8개로 되어 있으며, 그 저자도 각기 다르다.

지혜에 대한 부분과 일부 솔로몬의 잠언으로 알려진 것은 솔로몬이 창작하거나 수집한 것이아니며, 8~9장은 페니키아나 우가릿 문서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22장에서 24장에 이르는 부분은 이집트의 지혜서와 유사한 형태를 갖추고 있으며, 기타 잠언으로 알려진 아굴, 르무엘왕의 잠언들은 팔레스틴 이동 맛사의 아랍족일 것으로 추정된다.

잠언의 대부분은 바빌론 유배 이전에 전승으로 형성되었고, 완성은 바빌론 유배 후기인 400여년 경으로 잡고있다.

 

이집트의 지혜문학은 이스라엘에 들어와서 크게 유행을 하기도 했으며, 이스라엘의 지혜문학이 고대 이집트의 지혜문학으로부터 가장 큰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측된다. [문희석 編 /오늘의 智慧文學硏究 / 대한기독교서회 / 1976, P.58~59]

이집트의 지혜문학은 일상적인 경험으로부터 전통적인 도덕률과 실제적인 교훈을 가르치려고 애쓰는 본문들과, 삶을 크게 위협하는 급격한 사회변화로 인하여 기존의 것들에 도전하는 본문들로 나눌 수 있는데, 전자에는 스보예트(sboyet : 가르침)라는 특별칭호를 가진 문헌층이 속하고, 후자에는 염세주의에 관한 문헌층들이 속한다.

전자에 속하는 지혜의 가르침들은 BC 2,800년에서 BC 100년에 이르기까지 걸쳐 있는 것으로 고대 이집트의 종교적이고 사회적인 가치 체계들을 잘 알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집트의 지혜문학은 마아트(ma'at)라는 관리양성을 위한 쓰기학교에서 장려되었다.

이집트인들이 지혜문학을 장려한 취지는 '마아트'(ma'at), 즉 "질서와 규칙을 가르쳐서 생도들에게 살 수 있는 길, 행복을 누리고 성공할수 있는 길"을 제시해 주는 것이었다.

따라서 이집트에서 지혜문학이 장려된 이유는 다분히 실리적인 것이었다.[ H.링그렌 / 잠언,전도서 / 국제성서주석 / 한국신학연구소 / 1992, P.18]

 

프타호텝(Ptahhotep)의 교훈은 제5왕조의 바로 이씨시가 고관 프타호텝가 그의 아들에게 준 교훈을 모은 것이다.

제일 오래된 사본인 프리세 파피루스(Papyrus Prisse)가 파리 박물관에 있다.

프타호텝은 올바른 화술과 더불어 신실함(Truthfulness)을 가르킨다. 사기행각을 통해서 일시적으로 많은 부를 얻을 수 있을는지 모르지만 악행은 결코 올바른 목적지에 도달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이외에도 프타호텝은 올바른 식탁 예절을 강조하며, 여자들을 가까이하는 것을 강하고 경고하고 있다.[장일선 /구약세계의 문학 / 대한기독교서회 / 1981 P.86~98]

 

직급이 낮은 서기관에 의해서 쓰여진 아니의 가르침도 있는데, 복 종, 거룩함, 종교적인 의무 등을 강하게 주장하고 있으며, 또한 잠언과 마찬가지로 이방 여인들에 대한 경고가 나타나 있다.

 

아멘엠오페트(amen-em -ope)의 가르침은 제12왕조 아멘엠헤트가 즉위 20년에 그의 아들 세소스트리스 I세에게 섭정으로 자리를 물려주면서 전해준 교훈이라고 전해진다.

아멘엠오페트의 가르침은 모두 30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구약성경 잠언과 유사한 점을 많이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문헌은 아니의 가르침과 같은 일반 문헌보다 훨씬 더 경건 의식과 예배와 도덕성을 강조한다.[장일선 /구약세계의 문학 / 대한기독교서회 / 1981 P.98~120]

이외에도 '카겜니'(Kagemni)를 위한 가르침,'메리카레'(Merikare)를 위한 가르침등이 있으며, 서기관 전승에 속하는 '케티'(Khety)의 가르침, '박식한 서기관들을 찬미하며'(In Praise of Learned Scribes), '자기 아들을 위한 아버지의 가르침'(The Instruction of a Man for His Son)등이 당시 이집트 귀족계층에서 많이 읽혔다.

귀족계층이 아닌 일반 대중을 상대로 한 통속적인 지혜문학도 존재했는데, '온크세숀키'(Onchsheshonqy)의 가르침, '파피루스 인싱어'(Papyrus Insinger)의 가르침등이 있다.

그외에 논쟁문학이라고 불리는, '네페르'(Neferti), '카케페레-손베'(Khakheperre-sonbe), '이푸베르'(Ipuwer),'어떤 사람과 그의 영혼 사이의 대화'(the Dispute of a Man with His Soul)등이 있다.

수메르의 서기관들은 이집트인들과는 달리 격언들을 독립된 시선집 형태로 정리했다.

이들중에 적어도 24개의 수집물은 남아 있으며, 대표적인 것으로는 슈루파크(Shuruppak)의 가르침이 있다.

이 문헌의 가르침은 문학 형태의 동일성 이외에도 여러 면에서 이집트의 가르침과 유사한 점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문학작품들은 주로 에둡바(edubba : 점토판의 집)라는 학교에서 장려되었다.[박요한 영식 신부 / 이스라엘의 지혜와 교훈, 잠언/ 성바오로 출판사 / 1998, P.33]

메소포타미아에서는 징조문학(Omen Literature)이 발달하였는데, 상서로운 징조들과 불길한 징조들을 구분하여 왕권을 안전하게 지키는 수단으로 작용했다. 이러한 메소포타미아의 지혜문학에는 '샤마쉬 찬양시'(The ama Hymn), '나는 지혜의 주를 찬미하리라'(I Will Praise the Lord of wisdom)등이 있다.[제임스 L.크렌쇼 / 구약지혜문학의 이해 / 강성열 역 / 한국장로교출판사 / 1993, P.314~325]

 

테이트(Marvin E. Tate, Jr)교수는 메소포타미아나 이집트의 지혜문학들 뿐만 아니라, 가나안이나 동방나라의 지혜문학들도 구약성경의 지혜문학에 영향을 끼쳤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 이유는 구약성경안에서 단편적으로나마 가나안의 현인들이나 동방 나라 사람들의 지혜에 대해 언급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것의 예로는 사사기 5:28-29, 에스겔 28:1-10, 12-17, 열왕기상 4:30, 5:1-18, 7:13-14, 욥기 1:1-5절 등을 들 수 있다.[이형원 / 잠언, 전망성서주해 / 전망사 / 1993, P.16]

 

한편, 잠언은 신앙적인 면만 다루는 것이 아니라 인간사에 있어서의 추잡한 처세술까지도 포함하고 있다.

신앙적인면은 제쳐두고 삶에 있어서의 처세술적인 면으로서 잠언은 분명 지혜와 정직을 가르치고 있지만, 그 수준은 초등학교 바른생활 교과서 수준이라고 말해두고 싶다.

더욱이 간간히 추잡한 처세술까지도 포함되고 있다.

 

"뇌물은 임자의 보기에 보석 같은즉 어디로 향하든지 형통케 하느니라." [잠언 17장 8절]

"선물은 그 사람의 길을 너그럽게 하며 또 존귀한 자의 앞으로 그를 인도하느니라." [잠언 18장 16절]

"은밀한 선물은 노를 쉬게 하고 품의 뇌물은 맹렬한 분을 그치게 하느니라." [잠언 21장 14절]

 

뇌물에 관한 구절들이다.

오늘도 성경속에서 인생의 지침을 찾겠다고 잠언을 펼치는 당신은 고대인의 지혜문학서를 펼치고 있다는 것을 깨닫기 바란다.

 

 

▶ 가나안의 신 케루빔

언약궤의 금덮개(Kapporet :속죄판)위에는 두 개의 케루빔(개역한글판에는 그룹)이 마주 보고 있는 조각이 있었다.

예루살렘 성전의 지성소에도 두 개의 케루빔과 성전의 내부 벽과 문짝에도 케루빔들을 부조로 새겼다고한다.

특히 언약궤와 성전의 장식을 비롯해, 성경의 곳곳에서 등장하는 케루빔에 대해서 그 기원이 가나안에 있다는 주장은 거의 확실하다.

디벨리우스(M. Dibelius)의 주장에 다르면 언약궤가 사무엘상 3~5장에서는 '엘의 궤'로 표기했다가, 이후에 '야훼의 궤'로 바뀌었고, 사무엘하 6장 2절에서는 '엘의 궤이자 만군의 야훼의 궤'로 통합되어 버린다.[M. Dibelius / Die Lade Jahves ( FRLANT 7 )/ Gttingen 1906] (이것은 오경 이외의 경전에 문서설로 접근했기 때문에 반론도 만만치 않다.)

특히 최근에 이르러서 히브리인들의 가나안땅으로의 점진적 이주설(W. Thiel)이 크게 호응을 얻으면서 언약궤의 케루빔의 기원이 가나안에 기원했다는 설이 더 타당성을 띄며, 현재 발굴되는 가나안의 유적을 통해서도 그 기원이 가나안에 있음을 분명히 확인시켜 주고 있다.

 

두산세계대백과의 케루빔에 대한 내용을 옮겨보자.

 

"거룹(cherub)이라고도 한다. 하느님의 보좌나 성스러운 장소를 지키는 것으로 믿어, 계약의 궤(법궤)에는 황금의 이것이 배치되어 있었다. 아시리아의 신전을 지킨 사람의 얼굴에 수컷 소의 몸, 사자의 꼬리와 날개를 가진 케루빔이 도입된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스도교 특히 가톨릭에서는 지천사(智天使)로 번역되어 천사의 하나로 되어 있다." [두산세계대백과 EnCyber /케루빔 cherubim항목]

 

케루빔(Cherubim)은 히브리어는 케루브(Cherub)로 학자 중에는 중재자라고 번역하는 사람도 있는가 하면 지식이라고 번역하는 사람도 있다.

그리고 그 단어의 원형인 칼리브는 수메르나 바빌론의 신전 및 궁전의 무서운 반인반수(半人半獸)모습의 수호자를 가리키는 단어였다.

유대인은 바빌론에서의 노예 생활 중에 성소의 입구에 이러한 복수의 몸과 날개를 가진 전설의 동물이 있다는 것에 익숙해져 버렸음에 틀림없다.

유사한 수호신은 근동 전역에서 발견된다.

독수리의 머리와 날개를 가진 신이 이미 앗시리아의 영생의 나무(키스카누라는 수메르 신화)를 수호하고 있었다.

바빌론에 유배당했던 유대인들이 바빌론의 영생의 나무와 그 수호자를 차용해, 에덴동산의 선악과와 화염검(火焰劍)을 들고 인간의 출입을 막는 케루빔으로 이식시킨 것이다.

그리고 두 개의 케루빔이 날개로 궤의 지붕을 덮고 있는 언약궤의 모티브역시 이집트 카이로 박물관에 소장중인 투탄카멘의 미이라를 담고 있는 도금한 나무제단과 흡사하다. 거기에서 도금한 두 여신이 양팔을 벌려 제단을 덮고 있다. [제랄드 메싸디에/모세3/ 바다출판사 / 임헌 옮김/ P.349]

또 대영박물관의 메소포타미아관 입구에는 5m쯤되는 반인반수(半人半獸) 조각이 좌우 양쪽에 진열되어 있다.

수메르나 앗시리아에서 라마수라고도 불린 이 유물인 이것은 머리는 인간이고, 앞다리는 사자며, 몸 뒷통은 황소이고 독수리의 네날개를 가진, 동물 중에 최고의 완벽함과 강대함을 모아놓은 토템신의 모습 이라고 할수 있겠다.

 

십계명에서 다른신을 섬기지 말고, 우상숭배 금지를 분명히 언급 하였지만, 이스라엘인들은 가장 상징적인 언약궤의 뚜껑과 성전의 지성소에 토템신의 조각을 세워놓았으며, 케루빔은 성경 곳곳에 신의 대리자로써 중요하게 등장한다.

이에 대해서 이스라엘 벤구리온 대학의 후로비츠(V.Hurowitz)교수등은 여호와가 금지시킨 것은 일반적인 인물이나 동물상이 아니라 신으로 숭배되는 신상들이므로, 언약궤와 지성소의 케루빔은 비록 메소포타미아의 라마수나 이집트의 스핑크스등를 닮았지만 이스라엘 민족이 이것을 신으로 숭배하지 않았기 때문에 십계명과는 무관하다고 주장한다.(후로비츠의 이러한 견해는 서기 12세기 스페인 출신의 유대교 대학자인 마이모니데스의 십계명 해설에 기초하고 있다.)

 

하지만, 에스겔서를 보고 펼쳐보면 그러한 것은 궁색한 변명에 지나지 않는다.

에스겔은 케루빔의 엄청난 위용에 엎드려 경의를 표했으며, 케루빔은 자신의 말을 "여호와의 명령이다"라고 수도 없이 반복하고 있다. 에스겔서의 저자도 케루빔의 말을 여호와 말씀이라고 기록하고 있다.

다시말해, 케루빔은 여호와의 대리자,혹은 여호와의 또 다른 모습으로, 케루빔이 당시 유대인들에게 숭배대상이 아니었다고 하는 주장은 궁색한 변명에 지나지 않는다.

이는 가나안의 종교와 문화가 히브리인들의 여호와 신앙에까지 깊숙이 파고들었음을 반증해주는 것이라 하겠다.

 

 

▶ 조로아스터교에서 받은 영향

기독교인들에게 조로아스터교라는 이름은 매우 낮선 종교일 것이다.

조로아스터교는 일반적으로 불을 숭배하는 배화교(拜火敎) 정도로 알려져 있지만, 사실 기독교의 뿌리부터가 조로아스터교에 근원을 두고 있다.

현재의 기독교와 유대교의 사후세계, 천사개념, 메시아신앙등은 바빌론 유수당시에 조로아스터교로부터 유입된 것이다.

조로아스터교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뒤에 등장하는 예수신화에서 자세히 다루도록 하고, 이번 단락에서는 조로아스터교가 유대교에 미친 영향을 설명하겠다.

이란 종교를 대표하고 있던 조로아스터교는 이란 지역의 동쪽이나 남 중앙 아시아 지역에서 시작되었다고 추정한다.

전설에 따르면, BC 7세기(일설에 의하면 BC 1400년)경 이란의 북부에서 양치기를 하던 조로아스터(그리스 식 표기, 짜라투스트라-Zarathustra-가 원래 페르시아 발음임)는 40세때 신의 계시를 받고 진리를 선포 하기 위해 하산 했다고 한다.

그러나 실제로 조로아스터교는 그 동안 메소포타미아 지방에서 내려오던 여러 이란 종교들을 하나의 사상 체계로 발전시켰다고 평가할수 있다.

조로아스터교는 기본적으로 철저한 일신론을 주장하면서 동시에 엄격한 이원론을 신봉하는데, 이러한 흐름은 후에 영지주의의 강력한 뿌리가 되었다.

 

역사적으로 북쪽 지역에 있던 이스라엘은 BC 722년 앗수르에 의해 멸망당하고, 남유다는 BC 587년에 바빌론에 의해 멸망당한뒤, 유대인들은 바빌론으로 끌려가서 노예생활을 하게 되는데 이것이 이른바 바빌론 유수이다.

그러나 바벨론은 신흥 강대국이었던 페르시아 왕 사이러스(개역한글판에는 고레스로 표기)에 의해 곧 무너졌으며(BC 539), 이스라엘 민족의 운명은 페르시아(개역한글판에는 바사로 표기)제국으로 넘어갔다.

그들은 피 정복자들에게 조로아스터교를 강요 했으며, 이사야서 에서는 유대인들에게 막강한 사이러스의 통치에 순종 하도록 가르치고 있다.

이사야 44 장에서 사이러스왕을 신에 의해 임명 된 목자로 부르며, 45 장에서 기름 부음을 받은 자로 칭하고 있다.

사이러스왕 14 번, 다리오 13 번, 아하수에로왕과 아닥사스다왕은 7 번 씩이나 언급 하고 있다.

또, 학개 2장 23절에서는 여호와가 페르시아 총독 예룹바벨을 그의 택하심을 입은 자라 부르고 있다.

그리고 페르시아 왕들이 유대 제사장을 임명 했으며, 이사야 66장 21절에는 마기들이 유대 제사장으로 행세 하기도 했다.

이렇게 유대인들이 페르시아에게 순종하자, BC 532년 일부 순종 하는 유대인들을 귀환 시켜서 대형의 조로아스터 식의 사원을 짓게 했으며, BC 516 년에 완공되었다.

바빌론 유수를 당했던 때에 페르시아의 왕이 유대인의 본국으로의 귀환을 허락하고 땅을 되돌려 주고 파괴된 성전의 재건을 도와주면서 유대교에 미친 페르시아 왕들의 영향은 절대적으로 변모한 것이었다.

그리고 페르시아의 멸망 후에도 종교, 사상적 영향력은 매우 크게 작용했다.

느헤미야와 다니엘서도 처음에는 페르시아의 공식적인 언어인 아람어로 쓰여졌고 현존하는 유대 경전에도 페르시아어 단어가 100개 이상이 나온다. 특히 페르시아의 이원론적 사상은 유대 묵시 문학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페르시아왕이 유대제사장을 임명했듯이 유대 제사장에는 페르시아인 마기들이 다수 포함 되어 있었으나, BC 332 년에 그리스의 알렉산더 대왕이 예루살렘을 정복 하고서 페르시아의 영향 력은 현저히 감소 되었다.

이 때 부터 AD 73 년까지 종교의 자유가 허용 되었는데, 특기 할 것은 이 기간에 산헤드린이 창설 되었다. 이것은 유대인 종교 회의로 종교적, 사법적, 형법 구속력을 갖는 기관 이었다.

요세푸스에 따르면, 이 기관은 두 붕당이 관장 하였는데 바리새인과 사두개인들 이었다고 한다.

신약속에서도 자주등장하는 바리새(Pharisee)인은 페르시아의 영향으로 부활과 영혼불멸을 믿었다.

그렇다면 조로아스터교와 구약의 사후개념과 구원은 어떠한가?

조로아스터교에서는 인간이 죽으면 흔들리는 신바트의 다리(Chinvat Brigde)를 건너는 데, 생전에 죄가 많은 자들은 떨어져 지옥으로 가고 선한 자들은 세단계의 천국으로 인도 된다고 하며 천국의 목적은 찬양이라고 한다.

한편 천국도 지옥도 갈 수 없는 사람들을 위한 중간 상태가 있는데, 선한 행동과 악한 행동을 저울질 했을 때에 전체적으로 균형을 이루는 사람들이 가는 곳으로 혼합된 지역이라는 뜻을 가진' 하밍스타간'(Hamingstagan)이라는곳이 있다. 이것은 오늘날 천주교가 인정하고 있는 연옥설과 유사하다.

또한 조로아스터교는 마지막 심판이 있을 것이며, 마지막 날에 심판의 책에 기록된 대로 지상 천국에 다시 부활 할 것을 믿었다. 그리고 심판이전에 사망한 사람들은 세상의 역사적인 진행이 끝날 때까지 '잠정적인 상태'(provisional state)로 남아 있다고 믿었다.

그들은 아후라 마츠다(Ahura Mazda)에 의해 이끌어지는 빛이 세력과 앙그라 마인유(Angra Mainyu)에 이끌어지는 어두움의 세력이 투쟁하는 과정으로 보았으며, 종국적으로 아우라 마츠다가 승리할 것이라고 믿었다.

이 때 악은 영원히 파멸 당하고 죽었던 사람들은 다시 부활하게 된다.

그들은 아후라 마츠다가 이 세상을 지배할 궁극적인 역사의 종말에 다시 살아날 것이라는 확실한 믿음이 있었다.

구원자는 첫 조상과 전 인류의 뼈를 일으켜 세우고 생명과 살을 붙여 주실 것이라고 보았다.

죽은 자는 다시 살아나고 영광 속에서 다시는 파괴되지 않을 육체를 받는다.

구원자에 의해 신성한 의식이 치러지고 마지막 변형과 함께 육체가 부활하게 되는 것이다.

반면에 유대인들은 누구나 죽으면 쉐올(She'ol), 즉 땅 밑의 세계로 간다고 믿었다.

 

"왕이 그에게 이르되 두려워 말라 네가 무엇을 보았느냐 여인이 사울에게 이르되 내가 신이 땅에서 올라오는 것을 보았나이다." [사무엘상 28장 13절]

 

율법을 거역하고 사무엘의 영혼과 만나 보려고 했던 사울에게 무녀(巫女)가 한말이다.

여기서 언급한 신(엘로힘)은 여호와를 가르키는 것이 아니라 사무엘의 영혼을 가르키는 것이다.

무녀는 사무엘의 영혼이 땅밑(쉐올)에서 올라 온다고 말하고 있다.

 

'쉐올'에 대해서 살피면 구약시대의 사후개념은 신약시대와 같이 분명하지 않았다.

구약시대의 유대인들은 사후에 의인과 악인이 구분된다는 사실은 알고 있었으나, 그것을 확실하게 신학적으로 정립하지는 못했다.

다만 사후에 쉐올(음부)에 들어가는 것으로 생각하였으며, 이 쉐올은 일종의 '지하세계'(Underworld)로 인식되었다.

이곳에 들어간 사자(死者)들은 무의식 상태에 있게 되며, 따라서 여호와에게 감사할 수도 없게 된다고 생각했다. (시편 16장10절에도 다윗이 자신의 영혼을 음부에 버리지 말도록 호소하고 있다)

유대인들은 죽은 후 사자가 가서 거하는 곳이 반드시 있다고 믿었으며, 그곳을 가르켜 '음부'(陰府)라고 일컬었다.

킹 제임스 성경(KJV)은 히브리 단어인 쉐올을 무덤(grave :31회), 지옥(hell :31회), 구덩이(pit :3회)로 다양하게 번역했지만, ASV나 RSV에서는 번역하지 않은채 쉐올이라는 단어를 그대로 쓰고 있다.

헬라어로 번역된 70인역에서는 '하데스'로 번역하고 있다.

 

구약시대 히브리인의 음부 개념은 다분히 고대 근동인들의 개념과 엇비슷 했다.

즉, 의인과 악인 간에 약간의 구별이 있긴 하지만 두 종류의 영혼이 함께 기거하는 어두침침한 지하 세계가 곧 음부라고 생각했다.

그리고 그곳에 거하는 자들은 일명 '르바임'(Rephaim)이라고 하는 망령(亡靈)들로서 살아 있을때의 인간 형체가 희미하게 남아있는 '그림자적 존재'라고 이해했다.

아무튼 이러한 기본 개념하에 구약 성경에서 묘사하는 쉐올의 다양한 개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의인과 악인, 신자와 불신자가 함께 거하는 장소(창37:35;시9:17), 어둡고 그늘진 장소(욥10:21,22;시143:3),다시는 돌아올 수 없는 장소(욥10:21),침묵의 장소(시94:17;115:17), 여호와를 찬양할수도 없는 장소(시6:5;88:10-12), 아무것도 알수 없는 세계이며 일도 계획도 없는 장소(욥14:21;전9:5-10),모든 생물들이 필연적으로 들어갈 집(욥30:23),땅밑에 존재하는 장소(민16:30),망각의 장소(시 88:6), 지상의 비통한 삶보다도 더 가련한 삶(전 9:3-6), 사람의 운명은 짐승의 운명과 다를바 없으며 모두 다 티끌에서 왔다가 티끌로 돌아간다(전 3:18-21).

 

그리고, 유대인들은 여호와가 이스라엘 백성을 음부에서 구해 낼날이 있을 것으로 믿었던것 같다.

시편저자와 욥의 간구는 바로 이런 소망에서 비롯된 것이다.

쉐올의 개념은 헬라적 '영혼불멸'의 관념과는 대립된다.

의인은 죽어서 천국으로 가고 악인은 지옥으로 간다고 생각하는 오늘날의 기독교인들의 생각과 , 모든인간이 죽으면 일단 지하세계로 간후에 여호와가 음부에서 구원 한다는 것은 다르다.

구약성경의 쉐올사상은 메소포타미아의 지하세계의 신화의 영향을 입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를수록, 특히 바빌론 유배이후의 문서들, 즉 시편과 제 2 이사야에서 조로아스터교에 의한 새로운 구원관이 도입된다. 영혼불멸이나 부활을 믿지 않았던 사두개파와 다르게 페르시아의 영향을 받은 바리새인들이 등장한것도 이때였다.

이런 쉐올의 개념은 연옥설이라는 개념으로 아직도 카톨릭에서 인정하고 있다.

요한계시록의 죽은자들의 부활은 그야말로 헤브라이즘이 아니라 철저히 조로아스터식이다.

 

이번에는 악마의 개념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자.

다신론에서는 악마(demon)를 악한 일을 하는 신들로 규정하지만, 일신론을 신봉하는 종교에서는 악마를 신의 심부름꾼으로 정의 내리는 것이 보편적인 현상이다.(일신론과 유일신론은 다르다)

현재의 기독교인들은 악마를 신에게 거역한 신의 적대자로 규정하지만, 구약시대의 유대인들이 생각한 악마는 여호와의 하수인에 불과했다.

 

"여호와의 신이 사울에게서 떠나고 여호와의 부리신 악신이 그를 번뇌케 한지라." [사무엘상 16장 14절]

 

여호와가 사울에게 악신을 보내어 그를 괴롭게 만든다는 대목이다.

 

"미가야가 가로되 그런즉 왕은 여호와의 말씀을 들으소서 내가 보니 여호와께서 그 보좌에 앉으셨고 하늘의 만군이 그 좌우편에 모시고 서 있는데, 여호와께서 말씀하시기를 누가 아합을 꾀어 저로 길르앗 라못에 올라가서 죽게 할꼬 하시니 하나는 이렇게 하겠다 하고 하나는 저렇게 하겠다 하였는데, 한 영이 나아와 여호와 앞에 서서 말하되 내가 저를 꾀이겠나이다. 여호와께서 저에게 이르시되 어떻게 하겠느냐 가로되 내가 나가서 거짓말 하는 영이 되어 그 모든 선지자의 입에 있겠나이다 여호와께서 가라사대 너는 꾀이겠고 또 이루리라 나가서 그리하라 하셨은즉," [열왕기상 22장 19~22절]

 

여호와가 영들을 불러모아 의전회의를 하는 이대목은 여호와를 사람처럼 취급해 놓았다.

이 회의에서 여호와는 거짓말하는 영을 보내어 아합왕을 파멸로 이르도록 한다.

 

"아비멜렉이 이스라엘을 다스린지 3 년에 여호와가 아비멜렉과 세겜 사람들 사이에 악한 신을 보내시매, 세겜 사람들이 아비멜렉을 배반하였으니." [사사기 9장 22~23절]

 

여호와가 악한 신을 사람들 사이에 보내어 불화를 일으킨다는 것은 여간 재미 있는 일이 아니다.

 

"하루는 하나님의 아들들이 와서 여호와 앞에 섰고 사단도 그들 가운데 왔는지라....(중략)....이제 주의 손을 펴서 그의 모든 소유물을 치소서 그리하시면 정녕 대면하여 주를 욕하리이다. 여호와께서 사단에게 이르시되 내가 그의 소유물을 다 네 손에 붙이노라 오직 그의 몸에는 네 손을 대지 말지니라 사단이 곧 여호와 앞에서 물러가니라." [욥기 1장 6~12절]

 

욥기에서도 여호와가 의전회의를 진행하는데 여기에 사탄이 참여한다.

사탄이 여호와에게 "그에게 재앙을 내리면 당신을 저주할것 입니다"라고 꼬드기자 여호와는 사탄을 시켜 욥을 시험에 들게한다.

 

이렇게 구약의 중반부까지는 악마의 개념은 여호와의 하수인에 불과했으나, 이사야서 이후에 들어오면서 이 세상을 선과 악의 대결로 바라보는 이분법적 사상을 가진 조로아스터교가 급속하게 유입된다.

악마의 개념은 차차 여호와의 적대자가 되어버리고, 하늘을 지배하는 신의 세력과 악마가 지배하는 지상의 세계를 구분하기 시작했다.

신약에서 악마가 들어간 곳에 병이 깃들고, 인간의 인격을 타락케 하며, 인간의 행동과 말을 직접적으로 조정하기도 하고(막 1:23, 26; 9:17~29), 예수가 악마들을 쫓아 더러운 돼지떼로 보냈다는 이야기와 더러운 일곱 악마에 대한 비유(마 12:43~34)등은 조로아스터교에서 생각한 악마의 모습들이라고 할수 있겠다.

 

그리고 민족신의 개념에서 벗어나지 못하던 여호와 신앙이 바뀌게 된것도 조로아스터교의 영향이라고 볼수 있다.

여호와를 포함한 다른 부족 신들과는 달리 조로아스터교의 아후라 마즈다는 모든 민족과 인종을 다스리는 보편적인 신 이었다. 역사 학자 헤로도투스는 페르시아인들은 신의 형상을 만들지 않았고 그런 행위들을 바보 스럽게 생각 했다고 기록 하고 있다.

따라서 아후라 마즈다는 완전 무결한 존재 였기에 인간과 교통 하기 위해서는 중간자와 천사들이 필요 했다.

반면 유대인의 신 여호와는 직접 선지자와 모세에게 나타났고 천사도 필요 없었다.

모세는 시나이 산에서 70 인의 장로들과 여호와의 목전에서 먹고 마셨다고 기록 하고 있다.

구약 시대에는 여호와의 명령이나 계시를 예언자들이 받고 전했으나, 중간기에 들어와서는 천사가 이러한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인간의 미래나 세상의 종말, 예수의 탄생에 대한 예언도 천사를 통해 전달되어진다.

이러한 천사에 관한 개념은 헬레니즘 시대에 들어온 혼합주의 사상의 영향에 의해 형성되어졌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조로아스터교는 이 세상을 선과 악의 구도로 보고, 물질세계와 육체는 악한 것이라고 믿었다.

따라서 물질세계로 구성된 이 세상은 필연코 멸망할 것이며, 새로운 세상이 펼쳐질것이라는 조로아스터교의 교리는 묵시 문학으로 발전했다. 그리고 신구약의 중간기에 유대인들도 묵시문학을 기록하기 시작한다. 특히 역사를 숫자적으로 시대 구분하는 것 역시 페르시아적 요소이라 할 수 있다.

실제로 조로아스터교에선 후대로 갈수록 3천년 주기설 이론들(theories of three-thousand-year cycles)이 발전되어지면서 마지막 때와 인간의 죽음사이의 간격에 대한 묵시적 해석이 늘어갔다.

 

또한 유대인들은 이집트의식인 포경수술 (할례)를 행했지만, 조로아스터교의 입교 의식은 물등으로 세례 의식을 행했다고한다. 세례의식은 신약에서나 등장하게 된다.

조로아스터교의 보편 적인 법도는 아샤르타로(True Prayer :진짜 기도)로써 이는 후에 그리스의 말씀(Logos)의 기본이 되었으며, 조로아스터교는 믿음이 신앙의 기본 이었고 진짜 기도를 외우면 영생을 얻는다고 했다.

반면에 유대인은 믿음 보다 선한 행실을 강조했다.

후에 "구원이 믿음에서 오는가? 행함이 없는 믿음은 꽹과리 인가?"라며 바울과 유대 분파의 쟁론을 살펴보면 바울은 조로아스터 혹은 영지주의(영지주의도 조로아스터에 뿌리를 두고 있음)의 전통을 따르고 있다.

 

그리고, 조로아스터는 처녀가 잉태 하여 샤오샨트라는 구세주가 올 것이라고 예언했다.

반면에 이러한 메시아신앙이 유대인들에게 유입되기는 했지만 구약속의 유대인의 메시아는 그들을 압박속에서 해방시켜줄 정치적인 메시아였다.

즉, 유대인들의 구약에는 종말론적 사고 방식이 결핍 되어 있으며, 유대인이 생각한 여호와의 구원은 세상의 종말이 아니라, 그들의 신이 타민족을 제압하고 이스라엘의 번영을 이루는 것이었다.

 

조로아스터교는 조로아스터의 사후 마기(제사장)에 의해 많은 변질을 겪는다.

마기들은 성부 아후라 마즈다(Ahura Mazda), 성자 미트라와 성령 천사장(Spenta Mainyu)의 삼위 일체를 내세웠다.

후에 미트라 숭배사상은 초기 기독교와 공존하면서 예수에 대해 막대한 영향을 끼친다.

조로아스터교는 바빌론 유수때 유대인들에게 영향을 끼쳤음은 물론, 주변지역으로 퍼져나가서 수많은 토착종교와 뒤섞이면서 복잡한 양상을 띄게된다.

크리스마스(동지축제),부활절(춘분축제)등의 토착풍습이 조로아스터의 메시아 신앙과 융합되어버리고(원래 그날들은 메소포타미아의 고대신들과도 연관이 있는날들인데, 조로아스터식의 메시아들이 그날을 차용했으며, 후에 기독교의 예수가 다시 차용해 버린것들이다.), 삼신사상등과 함께 그리스의 철학등이 뒤섞여 버리면서 영지주의가 태동하게 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기독교가 등장하기전에도 이미 정통 유대교와 거리가 먼 에세네 학파 같은 비밀스러운 집단에서는 메시아,종말론,구원론이 매우 발전된 것을 알수가 있다.

초기의 기독교는 수많은 영지주의 종파중의 하나였으며, 영지주의의 뿌리는 조로아스터교에 있다고 정의를 내릴수 있다.

 

 

▶ 기타 구약 신화의 이해

앞서 언급했듯이 성경의 천지창조, 에덴 동산, 노아의 홍수,등은 뚜렷하게 수메르인들에게서 영감을 얻었거나 차용한 것이라는 점이 드러난다.

이뿐만 아니라 아브라함과 욥기 등의 신화도 주변지역에서 그 원형이 발견되고 있다.

 

(1) 아브라함 신화의 원형

1929년 셰프로를 단장으로 한 프랑스의 고고학자들이 우가릿에서 점토판이 발굴 되었다.

우가릿 문서가 만들어진 것은 BC 1400년경으로 알려져 있다.

우가릿 문학은 유대인이 가나안에 이주하기 이전의 가나안의 농경 종교의 양상을 아는데 극히 중요한 자료이다.

그리고 우가릿어는 히브리어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구약성경의 연구에 중요한 의의를 가지고 있다.

 

우가릿 문헌의 아카드 서사시에는 아브라함 신화와 유사한 이야기가 있다.

아카드 서사시에 등장하는 다니엘과 그의 처 사이에는 딸만 하나 있고 아들이 없었다. 그래서 다니엘은 시녀 사이에 아들을 낳는다. 그후 부인 사이에 아들을 낳으면 희생물로 바치겠다고 신에게 약속하고 아들을 얻는다.

이것은 아브라함이 자식을 낳지 못하여 시녀인 하갈을 통해 이스마엘을 낳고, 후에 신의 계시를 받아 사라에게서 이삭을 낳게 되지만, 신이 아브라함에게 이삭을 제물로 원하게 되는 것과 유사한 틀을 가지고 있다.

또, 이삭대신 동물을 제물로 바치라고 명령한 일화에 대해 학자들은 인류학적으로 종교가 인신공양에서 동물공양으로 관습이 바뀌어졌음을 암시하고 있다고 한다.

또, 아브라함이 자신의 아내 사래(=사라)를 이집트의 파라오에게 잠시 빼앗겼다 찾은 이야기는 케레트(Keret)서사시의 왕비 프르라이를 다른 왕에게 빼앗긴 공정한 왕 케레트왕이 그녀를 되찾는 이야기이와 같은 모습을 보이고 있다.

케레트 서사시는 1930년에서 다음해 1931년에 걸쳐서 발견된 것이며, 3장의 점토판에 기록되어 있다. 기록된 순서에 따라서 IK IIK IIIK라는 약호를 붙였다.

IK에서는 이야기의 주인공 케레트가 빼앗긴 아내 프르라이를 되찾는 광경이 기록되고, IIIK 에서는 케레트와 아내 프르라이의 결혼에 대한 신들의 축복과 자손의 약속에 관한 예언이 기록었다. IIK에서는 IIIK에서 약속된 케레트의 아이가 탄생하고 병을 앓는 케레트가 건강을 회복하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이 문헌을 조사했던 C.H.골든은 아내를 잃은 왕 케레트가 아내 프르라이를 되찾는다는 모티브는 트로이의 헬레네,아브라함의 아내 사라의 모티브와 공통된 것으로 보고, 우가릿 문학은 호메로스의 일리아드와 구약성서의 족장 설화와를 결부시키는 것으로 결론지었다.

 

서사시들의 공통된 모티브는 아직 충분하다고 할 수는 없으나 기원전 2천년대 중엽에서 후반에 걸쳐 미케네,크레테,우가리트,이집트,그리고 힛타이트 등을 포함한 동부 지중해 세계라고 하는 세계, 문화 복합체가 형성되어 있었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다.

앞장에서 소개한 바와 같이 아브라함이 그의 아내를 넘겨주는 이야기는 창세기에 두 번에 걸쳐 중복되어 있는데, 이것은 원래 여러가지 종류로 주전되던 전설이 문서화 되면서 생긴일이라고 볼 수 있다.

참고삼아 인류학의 대가 프레이저(J. Frazer)의 설명에 따르면 이삭의 막내아들 야곱이 맏아들 에서에게 장자권을 빼앗은 것은, 원래 차차상속이 관습이었으나 성경이 기록될 당시에는 장자상속으로 관습이 바뀌어 죽 한 그릇에 상속권을 산 것으로 기록할 필요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했다. [James George Frazer / Folklore in the Old Testament Studies in Comparative Religion Legend and Law / Kessinger Publishing]

 

(2) 욥기의 원형

구약성경에 기록된 욥기와 매우 흡사한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작품이 있다.

수메르어로 기록된 이 글이 쓰여진 연대는 BC 17~18세기로 보인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행복하고 부족함이 없이 살던 젊은이에게 나쁜 운명신이 병(역병)과 고난을 가져왔다.

그에게 고난이 닥쳐오자, 그동안 친하게 지냈던 젊은이의 친구들은 그가 잘못을 범해서 신에게 죄를 받는것이라며, 젊은이의 진실된 말도 거짓말이라고 매도해버린다.

그러나 젊은이는 신을 원망하거나 저주하지 않고 오로지 그의 자비를 구한다.

그리고 그의 마음은 결국 신을 감동시켜서, 신은 나쁜 운명신을 치워주고 젊은이에게 착한신을 붙여준다.

수메르의 욥이야기는 세상에서 잘못하지 않고 사는 사람은 없으며, 오직 자신의 수호신에게 호소함으로써 그의 자비를 구하는 길이 최선이라고 가르친다.

이미 여러학자들은 욥기가 메소포타미아의 영향을 받은 것을 인정하고 있다.

수메르의 욥(Job)이야기는 성경의 욥기와 거의 완벽하게 동일한 주제, 동일한 구성을 지니고 있다는 점을 부인하기 어렵다.

성경의 욥이야기는 천여년 이상 전에 나온 수메르인들의 이야기에서 그 소재와 구성을 따왔다고 보아도 틀림없을 것이다. [조철수 / 메소포타미아와 히브리 신화 / 길 출판사]

 

(3) 카인과 아벨 이야기의 뜻

질투 때문에 최초의 살인자가 된 카인, 어째서 여호와는 카인의 제물을 받지 않고 아벨만의 제물을 받았을까?

성경만으로 판단해 본다면 카인이 무슨 부정을 했는지는 나와있지 않다.

그는 남의 것을 훔쳐서 제를 올린것도 아니고, 특별히 나쁜짓을 하지도 않았다.

 

카인과 아벨 이야기는 당시 고대 메소포타미아에서 자주 등장하는 목자(牧者)와 농부(農夫)의 대결구도로서 이해될 수가 있다. 농부와 목자의 갈등에 관한 이야기도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작품에 자주 나온다.

이것은 메소포타미아 지방의 농경민족과 유목민족의 투쟁이 그 배경이 되고 있는데 카인과 아벨의 형제 살인 이야기의 원형은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두무지(Dumuzi-아카드어로는 탐무즈.Tammuz라고도 불렸음)와 농경신 엔키무드의 투쟁 이야기에서 볼수 있다.

이야기는 태양신 우투(utu = Shamash)가 동생인 인안나(Inanna)에게 목자들의 신 두무지와 결혼하라고 권유하는 것에서 시작한다. 그러나 인안나는 목자가 아닌 농부의 신 엔킴두(Enkimdu)와 결혼하겠다고 한다.

그러자 목자 두무지는 자신과 농부를 비교하면서 자신의 우월함을 말하자, 결국 인안나는 두무지에게 마음을 돌린다.

그러자 농부 엔킴두와 목자 두무지는 목자의 들판에서 언쟁을 한다.

이 신화는 두무지가 인안나와 결혼하기 위해 고생이 필요했던 것을 보여준다. 동시에 목자와 농부 중에서 목자가 이긴 것으로 그 곳에서 목축이 농경보다 더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을 자연스럽게 알 수 있다.

 

구약의 카인과 아벨의 반목에서도 농부와 양치기라는 그 지역 특유의 대결구도가 잘 나타난다.

양치기 아벨은 선하게 그려진 반면에 농부인 카인은 아벨에게 질투를 느껴 살인을 저지른다.

이것은 농경문화권을 정복하고 피정복자인 유목민족의 신화가 반영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또한 이동해온 유목민족 아피루(히브리민족의 시조)와 농경에 기초를 두고 있는 정착민인 가나안인들의 투쟁을 암시한다는 의미로도 해석할수 있겠다.

 

구약속에서 가나안의 신 바알(Baal)은 유대인들에게 혐오의 대상이었다.

바알의 경우 번개와 천둥의 신으로 알려져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 생식의 신이기도 하다.

유대민족이 가나안의 신 엘을 아무런 무리없이 잘 받아들였으면서도, 엘의 아들로 알려진 바알을 혐오했던 이유가 생식의 신이라는 바알의 측면 때문일 것이다.

사실상 농경문화에서의 생식, 즉 자손번영과 다산이라는 측면은 상당히 강조된다.

유목민족의 관점에서 본다면 이러한 농경문화가 음란해 보일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중국인들이 우리민족을 바라본 동이전(東夷傳)에는 우리민족이 음주와 가무를 좋아하며 음란하다고 기록했다.

농경문화의 대표적 산실이 술(酒)이다. 충분히 공급되는 곡물과 과실의 수확에 의해 농경문화에서는 술과 문화가 발달한다.

또, 다산(多産)을 중요시 여긴다. 수메르에서의 여성의 지위는 상당히 높았으며, 모계사회에 가까웠다.

그리스의 농경민족에게서도 박카스예배(Bacchilc Cult : 술의신)이 있다.

가나안의 바알신 축제도 이러한 농경문화의 전형을 그대로 나타냈을 것이다.

이것은 농경문화가 나타내는 보편적 종교양식이다.

유목문화가 농경문화를 접하게 되면 인류학적으로 상당한 문화적 충격(culture-shock)을 안겨줄수 있다.

 

바알신과 여호와신과의 투쟁은 고도로 성숙한 가나안 문화의 유혹과 유목민족으로서의 정체성 사이에서, 유대민족에게 여호와를 재인식 시켜 정체성을 확립해야했던 힘겨운 싸움을 암시한 것이다.

신화가 암시하고 있는 농경민족과 유목민족의 이러한 갈등구조를 이해하지 못한 채, 카인과 아벨이 실존인물이었다고 생각하면서 성경을 읽는 것은 그리스나 로마신화를 실존했던 신들의 이야기로 착각하고 읽는 어리석음과 다를바가 없다.

 

(4) 바벨탑

노아의 방주만큼이나 유명한 것이 바벨탑의 이야기다.하지만 바벨탑은 성경에만 기록되어 있는게 아니라 실제로 존재했다.

바벨(Babel)은 원래 '신의 문'이란 뜻으로, 바빌론이란 고대도시 이름도 여기서 나왔다고 한다.

창세기의 저자는 바벨이 혼합된(mixed)이나 혼란된(confused), 혹은 혼동된(confounded)을 뜻하는 히브리어 바벨(babal)에서 유래되었다고 착각하고 있지만, 바벨의 유래는 바빌로니아 언어에서 신의 문(gate of God)을 뜻하는 Bab-il에서 유래된 것이다.

바벨로니아는 BC 약2100~1700년대까지 존재했는데, 수메르의 문명을 이어서 세워진 나라였다.

우연히도, 바벨에는 탑이 있었다. 사실, 대부분의 수메르인들과 바빌론인들의 도시에는 탑들이 있었다.

이들 도시의 신들에게 바치는 사원들은 외부에 경사진 면으로 올라가는 계단이 있는 형태의 피라미드를 가지고 있었다. 이것들은 지구라트(ziggurat)라고 부른다.

 

기원전 3세기 바빌론의 신관이면서 역사가 였던 베로수스(Berosus : 베로소스-Berossos-라고도 한다)라는 사람이 시리아의 왕 안티오코스 1세에게 바빌로니아지(誌) 3권을 헬라어로 저술하여 바쳤다.

그가 저술한 책 1권에서 바벨탑 사건을 묘사한 내용이 나온다.

".....최초의 사람들은 자신들의 힘을 너무 믿어 신을 경멸하고 자신들이 신보다 위대하다고 생각했다. 그들은 오늘날 바빌론이 있는 곳에 높은 탑을 쌓았다. 이 탑이 하늘에 닿으려고 할 때 갑자기 신이 있는 곳에서 바람이 불어와 탑을 무너뜨렸기 때문에 그것을 쌓던 사람들은 땅 위로 떨어졌다. 탑의 폐허는 바벨(신의 문)이라 불렸다. 사람들은 이때까지 같은 말을 했는데 신은 그들로 하여금 다른 언어로 말하게 만들었다."

 

그렇다면, 어째서 바빌론의 탑이 혼란의 상징이 된것일까?

그 이유는 다음과 같이 추측되고 있다.

바빌론에 있는 거대한 지구라트는 수메르의 왕이 시작한 것이었으며, 아마도 아카드의 사르곤이 남쪽으로 진군해 온 것으로 인해 야기된 혼란의 결과로 공사가 끝나지 않고 남겨졌을 것이다.

많은 세월이 흐르는 동안, 지구라트는 완성되지 않은 채로 남겨져 있었고, 아마도 그 불완전성 때문에 명성을 얻게 되었을 것이다. 피사의 사탑이나 슈베르트의 미완성 교향곡 처럼 말이다.

 

하지만, 기원전 6세기, 바빌론의 왕인 느부갓네살(Nebuchadnezzar)이 당시까지 지어졌던 것들 중에서 가장 거대한 지구라트를 완성시켰다.

그것은 행성들 각각에 대해 하나씩 일곱 개의 안으로 들어간 단이 있는 형태였다.

가장 밑에 있는 단은 폭 300 피트에 길이 300 피트였으며 전체 구조물은 높이가 325 피트에 달했다.

그러나 지금은 이것이 그럴듯한 마천루 같이 보이지는 않고, 게다가 이집트인들이 세운 거대한 피라미드에 비하면 훨씬 작았다. 하지만, 그것은 남서 아시아에서 가장 거대한 구조물이었고 마침내 완성되어진 탑이었다.

오늘날 바벨탑의 유적이 발견되었다고 기독교인들이 떠벌이는데, 실상은 위에서 소개한 탑의 유적일 뿐이다.

 

이제 결론을 내보자.

구약속의 바빌론 유수이전의 사건들은 대부분 신화이다.

신화는 진실이 아니라 과거에 일어났던 사건들을 은유법으로 암시하고 있다는 측면으로 관찰되어져야 할 것이다.

단군신화를 예로 들어보면 곰이 여자로 변했다는 것을 곧이 곧대로 믿는 사람은 없다.

곰을 숭배하는 샤머니즘 부족의 여자와 환웅이 결혼하여 두 부족이 하나로 뭉쳐졌다는 것을 암시한다는 측면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구약 앞부분에 나오는 인물들의 이야기도 이러한 신화의 이해의 측면으로 이해 되어야 할 것이다.

 

 

제6장/ 성경의 비과학

기독교 근본주의자들이 그토록 부르짖는 창조론은 과학이 아니다.

진화론은 'the theory of evolution'이고, 창조론은 'Creationism' 즉, 정확한 번역은 창조주의이다. 다시말해 과학이 아니라 주장에 지나지 않는다는 말이다.

 

창조주의자들은 진화론이 아직 정확한게 아니라며 어떻게든 하나라도 더 트집을 잡아서 창조주의를 진리로 만들려 한다.

그러나 그들이 맹신하는 성경이야말로 어디 과학적이던가?

또한 진화론을 부정하면 자동으로 창조론이 진리가 된다는 식의 흑백논리는 과학을 논할 자격도 없는 매우 어리석은 짓이다.

창조론을 과학의 수준으로 이끌려면, 생명체가 창조 되어졌다는 것을 입증하거나, 가설을 제시해줘야만 하지 않을까?

게다가 창조신화는 유대민족만 가지고 있던것이 아니다. 수메르와 메소포타미아에도 거의 비슷한 신화들이 전해내려온다.

따라서 창조론을 주장하려면 기독교 성경에 맞는 합당한 이론을 내놓아야 할 것이다.

그러나, 현시점의 창조주의자들은 그러한 노력의 흔적은 전혀 보이지 않는다.

그저 진화론 흠집내기의 수준에 지나지 않는 지금의 '창조론'은 차라리 '안티 진화론'이라고 불러야 합당할 듯하다.

 

성경속의 신화를 과학에 끼워맞추려 한다는 것 부터가 잘못이다. 그것은 스스로 과학으로 인정받기를 포기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신화를 신화로 이해하지 못하고 과학으로 착각한다면 그것만큼 어리석은게 없다.

즉, 단군신화에서 곰이 여자로 변신했다는걸 과학으로 증명해보이겠다는 어리석음과 같은 것이다.

창조론이 과학이라면, 생명체가 창조되어졌다는것을 입증하거나, 가설을 제시해줘야만 한다.

 

게다가 노아의 방주와 같은 신화를 과학으로 입증하겠다고 어거지를 쓰는 창조주의자의 행태는, 성경이 언제 어떻게 만들어졌는가에 대한 신학적 지식이 전무한 사람들의 추태에 지나지 앟는다.

신학교에서 제대로 배웠다는 목사들이 이들을 말리기는 커녕 크게 호응을 하며 지원해주는 것도 어처구니 없다.

그들의 행태를 보아하면, 중세시대에 갈릴레이를 종교재판소에 회부했던 광신자들이 무덤에서 부활한게 아닌가 하는 착각이 들정도다.

 

본 서에서는 생명이 진화되었는가 창조되었는가에 대한 언급을 하지 않을 것이다.

진화론과 창조론이 논쟁은 그것만 전문으로 취급하는 사이트가 있으므로, 본 서의 이번 파트에서는 성경의 비과학적인 측면과 문서적 오류, 성경이 담고 있는 우주관만을 다룰 것이다.

 

 

▶ 천지창조의 비과학

창세기의 천지창조는 이미 상당수가 비과학적이며 문서적으로 모순에 가득차 있다.

대표적인 예로 지구와 지구에 있는 초목보다 태양과 달, 별등이 나중에 만들어졌다고 언급한 일이다.

그러나 태양이 없이 지구와 지구의 초목이 자라남다는 것은 한마디로 넌센스이며, 이미 현대 과학으로 지구의 연령은 45억년정도이며, 은하계에 있는 별들중 최고의 연령을 가지고 있는 별들중에는 150억년 이상 되는 별도 있다.

 

창세기에는 2가지 창조설화를 가지고 있다.

성경의 창세기 1장과 2장을 자세히 읽어보면 2가지 다른 그리고 상반된 창조이야기가 나온다.

즉, 창세기가 두 번이나 기록 되었으며, 두가지의 천지창조는 순서조차 다르다.

이것에 대해서,'여호와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신 때에 천지의 대략이 이러하니라'[창세기 2장 4절]라는 구절에 의해,1장에서 말한 내용을 2장 4절부터 대략 다시 이야기 하는 것이라고 주장하는 기독교인이 있다.

 

그러나 이점에 대해서 이미 오래전에 서구에서의 연구결과가 있고, 학계에선 자료비평이라는 방법으로 그 모순이 해결되었다.

이점에 대해서 처음으로 분석한 사람은 1968년 성경을 문학적,역사적으로 구분한 리샤르 시몽(Richard Simon)이다.

그후 1753년 아스트룩 (Jean Astruc)이 창세기의 서로 다른 신(神)의 이름이 나오는 것을 토대로 두가닥의 구두전승(口頭傳承) 을 구분하므로써 문헌상의 가설에 대한 현대 비평을 마련한 것이다.

창세기는 2,500년전에 기록되었으며, 일단 현대의 학자들은 구약성경의 오경이 네갈래의 구두전승으로 짜여져 있다는 것에 대해서 보편적으로 합의하고 있다.

이것은 오늘날 신학생이 되면 당연히 배워야 하는 자료비평이라는 성경의 분석방법이다.

 

성경을 구성하고 있는 4갈래의 전승은 다음과 같다.

① 야훼문서(J) : 창세기에서 신을 야훼(Yahweh)라 부르는 전승으로 이것이 최초로 기록된 것은 기원전 10세기 북왕국에서였다. 물론 이 전승이 그보다 앞서 수집되었을 수도 있고 후에 추가되었을 수도 있다.

② 엘로힘문서(E) : 대체로 BC 900년 북왕국 사람들이 기록한 시나이 시대 이전 자료에 나오는 하느님을 엘로힘(Elohim)이라고 부르고 있는 정승을 말한다. 이것은 신을 인격화 시키지 않고 있다.

엘로힘 문서에서는 시나이 계약이 야훼계보다 강조되고 있으며, 야훼계가 합쳐진 것은 BC 721년 북왕국의 몰락 이후로 추정된다. 참고로 야훼계는 교리에 밝지 못하지만 엘로힘계는 교리에 밝은 사람들이 수집한 것이다.

③ 신명기 법전(D) : 북왕국에서 유래되어 주로 신명기에 수집된 법률과 관습을 담고 있다. 이것은 단일성소 규정을 촉구하고 있다. 이 전승의 핵심 부분은 BC 7세기에 기록된 것으로, 요시아가 BC 521년 성전에서 발견해 냈다.

그후 여기에 다른 자료들이 첨부되어 신명기적 역사서(여호수와-열왕기 하)의 서문을 형성하게 된다.

④ 사제문서(P) : 대체로 바빌론 유배기간(BC 540년) 사제계급이 수집한 모세 오경속의 전례 자료 대부분을 포함한다.

이들은 치밀한 전례에 대해서 관심을가지고 있다.

 

여기서 야훼계와 다른 3가지 전승(傳承)은 여러 가지 면에서 매우 차이가 난다는 것을 지적할 필요성이 있다.

창세기중 1장~2장 3절까지의 기록은 유대인들이 바빌로니아 포로가 된 후에 나타난 제사학파들에 의하여 쓰여진 사제문서(=제관계,제사적 사료층)로 구성되어 있으며, 2장4절~3장 끝까지는 야훼문서(야훼주의자 사료층)으로서 창세기 1~3장은 두개의 사료층이 혼합되어 구성되어 있다고 한다.

 

사제문서의 전승에 의한 창세기 1장 ~ 2장 3절까지의 창조순서는 다음과 같다.

첫째날: 하늘, 땅, 빛

둘째날: 물, 바다의 물과 하늘위의물

세째날: 식물

네째날: 태양, 달, 별

다섯째날: 바다의 괴물 (KJV에서는 고래로 표현함), 물고기, 새, 육지동물, 땅에 기어다니는 동물 (파충류등)

여섯째날: 사람 (남자와 여자 동시에 창조)

일곱째 날 : 안식일

참고로 사제문서에 의한 창세기 1장부분은 신의 명칭이 '엘로힘'으로 표기되어 있다.

 

야훼문서의 전승에 의한 창세기 2장 4절~3장까지의 창조순서는 다음과 같다.

땅과 하늘 (heavens)

아담, (황폐한 땅에 있음)

식물

동물

이브, 아담의 갈비뼈로 만들어 냄

뱀의 유혹과 인간의 타락

여기서는 신의 이름은 모두 야훼라고 불리게 되는데 여호와는 아담이 쓸쓸하게 있기 때문에 여러 가지 식물, 동물, 그리고 이브를 만들어 준다.

또한,1장과 2장의 창조된 순서도 당연히 다르지만, 창세기 1장의 이야기에서는 신이 창조할 때는 매우 조심스러운 계획을 가지고 만들었고 "보기에 좋았더라"라는 것을 강조하여 신이 만족한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창세기 2장의 이야기는 한번 만들어 놓은 것은 자꾸 고치는 듯한 느낌을 받는다.

예를들어 아담을 만들어 놓았는데 아담이 쓸쓸해 보인다. 그러자 이번에는 보기 좋고 맛있는 열매를 맺는 나무를 만들어 준다.

그래도 심심해 하자, 이번엔 동물들을 만들어 주고, 그래도 쓸쓸해 하는 것 같자 이번에 이브를 만들어 준다.

그리고 아담에게나 이브에게 생명나무 열매를 먹지 말라고 한다.

 

또한 1장과 2장의 창조의 방법도 다르다.

창세기 1장은 "생겨라" 하고 만든다. (예를들어 "빛이 있으라". 라틴어로 Fiat Lux)

하지만 야훼계 전승은 신이 사람을 만들 때 진흙을 빚어서 만들고 숨을 불어 넣어준다.

그리고 야훼계는 신이 에덴동산을 걷고 있었다고 말한다.이것은 야훼문서의 전승이 신을 인격화 시켜서 해석하기 때문이다.

또한 선악의 열매를 따먹은 인간이 생명나무를 먹고 영생할까 걱정하는 매우 인간적인 모습까지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사제문서에 의한 창세기 1장의 전체적인 이야기는 신의 모습은 추상적인 이미지가 매우 강하다.

 

자료비평에 대해서는 뒷부분의 성경에 대한 고찰편에서 더욱 자세히 다루도록 하겠다.

그럼, 그럼 창세기의 천지창조의 구절을 계속해서 파헤쳐 보자.

 

"하나님의 신은 수면위에 운행 하시니라." [창세기 1장 2절]

 

여호와가 아직 천지를 창조하기도 전인데 물(water)은 어떻게 존재하고 있었던 것인가?

그러나 이점에 대해서 앞부분의 수메르의 창조신화에 대한 글을 읽으신 분이라면 그 해답을 알고 계실 것이다.

메소포타미아의 창조신화에서도 물은 천지창조 이전에도 존재했다고 한다.

"저녁이 되면 아침이 되니 이는 첫째 날이니라." [창세기 1장 5절]

 

이런 표현이 무려 여섯 개가 나온다 8절, 13절, 19절, 23절, 31절

하지만 첫째날 빛과 어둠을 만들었다.

그리고 넷째날에 광명을 만들어 주야를 두었다고 한다

18절에서 보면 주야를 주관하게 하시며 "빛과 어둠을 나뉘게 하시니라 하나님의 보시기에 좋았더라" 라고 한다.

넷째날이 되기전에는 단지 주야는 없고 빛과 어둠의 구별뿐이었다.

그런데도 첫째날부터 "저녁이 되며 아침이 되니"라는 표현을 쓰고 있다.

이미 문맥상으로 사소한 실수를 범하고 있는 셈이다.

 

"하나님이 가라사대 땅은 풀과 씨 맺는 채소와 각기 종류대로 씨 가진 열매맺는 과목을 내라 하시매 그대로 되어 땅이 풀과 각기 종류대로 씨 맺는 채소와 각기 종류대로 씨 가진 열매맺는 나무를 내니 하나님의 보시기에 좋았더라. 저녁이 되며 아침이 되니 이는 세째 날 이니라." [창세기 1장 11~13절]

"하나님이 두 큰 광명을 만드사 큰 광명으로 낮을 주관하게 하시고 작은 광명으로 밤을 주관하게 하시며 또 별들을 만드시고...(중략)....저녁이 되며 아침이 되니 이는 네째 날이니라." [창세기 1장 16~18절]

 

여기서 보면, 별들과 태양, 달이 지구와 지구에 있는 풀이나 채소보다 나중에 만들어졌다고 성경은 말한다.

분명 창세기에는 세째날에 채소와 풀, 땅과 바다를 만들었다고 하고, 네째날에는 해와 달과 별을 만들었다고 한다.

지구의 나이보다 태양이 1억년정도 앞선다는 것은 이미 정설이고, 태양없이 초목이 자라지도 못한다.

태양이 없다면 지구는 생명이 존재할수 없는 것이다.

또한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지구의 나이는 45억년정도이다.

그러나 이미 은하계에는 60억년~150억년이상의 늙은 세대의 별(은하계의 중심부와 헤일로에 있는 별)이 있으며, 여기에는 신성, 거문고RP형 변광성, 미라형, 변광형, 행성상 성운, 구상성단의 별들이 속한다.

이들별은 은하계가 생길 때 생긴 1세대의 별로 추정된다. 또한 이것은 우리 은하계에만 해당하는 것일뿐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안드로 메다 은하계나 셀수 없는 다른 은하계에 대한 것은 헤아릴수도 없을 정도이다.

더욱이 별은 동시에 만들어진 것도 아닌 것이다. 지구보다 훨씬 오래전에 만들어 진 것도 있는 반면에 젊은 것도 있다.

분명 창세기는 지구의 관점에서 땅과 초목을 만들고 태양과 별을 만들었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식물의 시초라고 할 수 있는 남조류는 4억년전에 나타났고 최초의 바다동물은 6억년전에 나타났다.

최초의 꽃을 피우는 육지 식물은 1.2~1.5억년전에 나타났다. 그러므로 꽃이 있는 식물은 동물보다 훨씬 나중에 나온 것이다.

즉, 육지에 있는 초목은 바다에서 번성하기 시작한 식물과 동물보다 짧은 역사를 지니고 있는 것이다.

하물며 태양보다 먼저 땅과 초목이 만들어 졌다니 이것을 과학으로 어떻게 풀겠는가?

 

"하나님이 가라사대 우리의 형상을 따라 우리의 모양대로 우리가 사람을 만들고 그로 바다의 고기와 공중의 새와 육축과 온땅과 땅에 기는 모든 것을 다스리게 하자 하시고." [창세기 1장 26절]

 

여기서 우리는 누구인가? 어째서 복수형인가?

이것을 바로 성부, 성자, 성령의 삼위일체의 하나님을 암시하는 것이라고 삼위일체론자들은 주장한다. 그러나 유대 민족은 삼위일체를 믿지 않는다. 그것은 이방종교의 영향이었으며, 삼위일체에 대한 점은 뒷부분에서 자세히 다루도록 하겠다.

 

"여호와 하나님이 흟으로 사람을 지으시고" [창세기 2장 7절]

 

너무나 유명한 구절이다.아마도 이 구절은 인간이 육체를 반역한 신의 피와 진흙으로 인간을 창조했다는 메소포타미아의 신화에 영향받은 듯 하다.

그러나 최근에 인간의 구성원소와 흟의 구성이 같다며 놀라운 하나님의 진리를 알았다고 주장하는 기독교인들이 있어서 말을 해볼까 한다.

누가 그런 주장을 했는지는 모르나, 사실 흙과 사람의 화학적인 구성은 전혀 다르다.

흙의 8 대 요소에서는 인간의 주구성 원료인 탄소조차 없으며, 원소의 구성비조차도 전혀 다르다.

흙의 주성분은 산소 46.6%, 규소 27.72%, 알루미늄 8.13%, 철 5%, 칼슘 3.63, 나트륨 2.83%, 칼륨 2.59%, 마그네슘 2.09%이며, 인간의 주성분은 산소 65%, 탄소 18.5%, 수소 9.5%, 질소 3.2%, 칼슘 1.5%, 인1%, 황 0.3%이다.

흙의 포함된 유기물을 토대로 그런 주장을 하는 모양인데, 그렇다면 인간의 몸에는 흙의 가장 중요한 성분인 규소같은 물질도 없는것을 무엇으로 설명을 해야할까?

흙과 인간의 구성성분이 일치하는 것은 산소와 칼슘뿐인데 이마저도 그 비율이 크게 틀린다.

필자는 창조과학회의 허구적인 자료에는 이골이 날지경이다.

인체와 바닷물은 상당히 비슷하다. 차라리 인간은 물에서 탄생했다고 쓰여져 있다면 몰라도 인간과 흟의 원소를 비교한다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다.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의 실과는 먹지 말라 네가 먹는 날에는 정녕 죽으리라 하시니." [창세기 2장 17절]

"동산 중앙에 있는 실과는 하나님의 말씀에 너희는 먹지도 말고 만지지도 말라. 너희가 죽을까 하노라 하셨느니라." [창세기 3장 3절]

 

위의 두구절의 여호와의 말은 거짓말에 가깝다.

여호와는 선악과를 먹으면 죽는다고 했지만, 아담과 이브는 선악과를 먹었어도 죽지 않았으며 죽이지도 않았다.

눈이 어둡고 선악을 구분 못하는 인간이라면 짐승보다 나을게 없다.

그런데 그 과일을 먹지 않았으면 아담과 하와는 원래 영생하는 존재가 아닌가 하고 반론을 제기했던 기독교인도 있었다.

그러나 그런분들은 아래 구절을 보도록 하라.

 

"뱀이 여자에게 이르되 너희가 결코 죽지 아니하리라." [창세기 3장 4절]

"여호와 하나님이 가라사대 보라 이 사람이 선악을 아는 일에 우리중 하나 같이 되었으니 그가 그손을 들어 생명나무 실과도 따먹고 영생할까 하노라 하시고." [창세기 3장 22절]

 

위 구절을 보면, 인간이 원래부터 영생하지 못한다는 것을 알수 있지 않은가?

또한, 1장 28절에는 하나님이 남자와 여자를 창조하면서 너희는 땅위에 생육하고 번성하라는 말이 있다.

만약 죽지도 않고 생육하고 번성하라면 이땅은 얼마안가서 인간 들로만 꽉 차 있게 될 것이다.

즉, 생육과 번성이라는 말에는 죽음도 포함되어 있는 것이다.

뱀은 진실되게 먹어도 안죽는다고 가르쳐 주었다. 만약 뱀의 말을 안들었으면 지금도 인간은 축생과 같은 미물처럼 살고있을 것이다. 눈이 어둡고 선악을 구분 못하는 인간이라면 짐승보다 나을게 없다. 그것이 여호와가 원래 인간을 창조한 목적이었던가?

 

"여호와 하나님이 흙으로 각종 들짐승과 공중의 각종 새를 지으시고 아담이 어떻게 이름을 짓나 보시려고 그것들을 그에게 이끌어 이르시니 아담이 각 생물을 일컫는 바가 곧 그 이름이라." [창세기 2장 19절]

창세기 1장엔 새는 5일째, 짐승은 6일째 만들었고, 인간은 6일째에 만들었다고 한다.

그러나 2장을 보면 아담을 만들고 난후에 19절에는 흙으로 들짐승과 새를 만들어서 아담에게 이름을 지으라고 한다.

즉, 창세기 1장에서는 식물, 동물을 만든 후에 사람을 만들지만 2장에서는 남자를 만든 후에 식물, 동물을 만든 것으로 순서가 되어 있다.

또한, 창세기 1장에서는 남녀를 동시에 만든 후에 다른 것을 만들지만 2장에서는 남자를 만든 후에 식물, 동물 등등을 만들고 맨 나중에 여자를 만든 것으로 되어 있다. 1장과 2장은 이렇게 엄연히 모순으로 상치된다.

이 방법을 해결할수 있는 방법은 위에서 제시한 자료비평에 의한 방법 밖에는 없다.

 

"여호와 하나님이 가라사대 보라 이 사람이 선악을 아는 일에 우리중 하나 같이 되었으니 그가 그손을 들어 생명나무 실과도 따먹고 영생할까 하노라 하시고." [창세기 3장 22절]

 

여기서 선악과 나무외에도 생명나무가 또 있음을 나타낸다.

더욱이 영생나무 열매 때문에 죄를 얻는 다는 대목은 없다. 다만 여호와가 먹지 말라고 했을뿐이다.

 

"너희가 그것을 먹는 날에는 너희 눈이 밝아 하나님과 같이 되어 선악을 알 줄을 하나님이 아시느니라." [창세기 3:3~5]

 

위의 뱀이 하는 말이 거짓이 아님을 위의 구절이 증거하는 것이다.

즉, 여호와가 우리중 하나 같이 되었다고 하고 걱정하는 구절로 보아서, 선악을 구별하는데 만큼은 이미 우리는 여호와와 같은 자각력을 가지게 되었다고 할수 있다.

그리고 아담과 이브가 어째서 에덴동산에서 내쫓았는지 이유가 나온다.

바로 그 이유는 자신의 말을 명령을 거역해서가 아니라, 영생나무실과를 먹고 인간이 영생하는게 두려워하는 매우 인간적인 질투하는 신의 모습을 볼수 있다. 이러한 인간적인 모습의 위에서 언급한 야훼문서의 전승이 신을 인격화 시켜서 해석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