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 내편 - 3 양생주 養生主
1
우리의 삶은 언젠가 종말이 있으나 알음알이 지식은 한도 끝도 없다. 각자에게 부여된 유한한 삶의 시간 동안 끝이 없는 지식을 추구하면 오직 위태로울 뿐이다. 이미 위태로운데도 스스로 안다고 자처하니 더욱 위험할 따름이다.
그러나 착한 일을 해도 그런 명예의 개의치 않고 악한 일을 해도 형벌 따위에 얽매이지 않으며 자연의 이법에 항상 따르면 몸을 온전히 할 수 있고 생명을 보존할 수 있고 자기 생명의 아버지를 봉양할 수 있고 천수를 누릴 수 있으리라.
2
소잡는 포정이 문혜군을 위해 소를 잡은 일이 있다. 그때 손을 잡은 일이 있다. 그때 손을 놀리고 어깨를 기울이고 발로 밝고 무릎을 구부리는 동작에 따라 휙휙 울리는 뼈 발라내는 소리, 칼로 가르는 소리가 절도에 모두 맞았다. 포정의 몸놀림은 상림桑林에 합치되고 칼을 움직이는 소리는 경수經首의 리듬에도 들어맞았다.
이를 본 문혜군이 말했다.
" 참으로 훌륭하구나. 소잡는 기술이 어떻게 해서 이런 경지에 이르렀는가?"
포정이 칼을 놓고 대답했다.
" 제가 즐기는 바는 道입니다. 도를 소잡는 데 응용했을 따름입니다. 처음 제가 소를 잡을 때에는 보이는 소밖에 없었읍니다. 3년이 지나자 소가 온전한 모습 그대로 보이지 않았습니다.
지금에 이르러서는 소를 마음으로 만나지 눈으로 보지 않습니다. 눈의 감각 기능을 멈추고 마음의 눈에 따라 손을 놀립니다. 天理에 따라 큰 틈새를 열어제치고 빈 곳을 쳐 나갑니다.
소가 생긴 대로 칼을 움직이므로 저의 칼날은 뼈와 살이 연결된 곳을 다치게 한 적이 한번도 없습니다. 하물며 큰 뼈가 무슨 장애가 되겠습니까! 재주있는 소잡이가 해마다 칼을 바꾸는 것은 살을 가르기 때문입니다. 많은 소잡이가 다달이 칼을 교체하는 것은 뼈를 건드리기 때문입니다. 저의 칼은 지난 9년 줄곧 사용했고 소 수천마리를 잡았어도 칼날이 지금 막 새로 숫돌에 간 것 같습니다. 소의 뼈마디에는 틈새가 있고 칼날은 두께가 없을 정도로 날카롭습니다.
두께 없는 칼로 벌어져 있는 뼈마디 사이에 삽입하므로 공간이 널찍해서 칼날을 방금 숫돌에 간 듯합니다. 하지만 칼날이 근육과 골반이 연결된 곳에 이를 때마다 어려움을 절감합니다.
저는 근심하고 경계를 늦추지 않고서 눈길을 고정시키고 손놀림을 천천히 하면서 칼날을 매우 세심하게 움직입니다. 어느 결에 뼈와 살이 확연하게 갈라져 흡사 흙덩이가 땅바닥에 떨어지는 것 같습니다. (일을 마친 뒤에는)칼을 들고 일어나서 사방을 둘러보고 머뭇거리면서 만족한 기분으로 흔쾌히 칼을 잘 닦아 둡니다."
이에 문혜군이 말했다.
" 훌륭하구나. 내가 포정의 말을 듣고 양생의 이치를 얻었도다."
3
공문헌이 우사를 보자 놀라 말했다.
" 이 어찌된 사람인가! 왜 발이 잘렸을까? 하늘이 그런 것일까? 사람의 짓일까?" 스스로 대답했다.
" 하늘이 그런 것이지 사람이 그런 것은 아니야. 하늘이 그를 세상에 보낼 때 외발로 만든거야.
사람은 두 다리를 갖고 있으니 그가 외발인 것은 하늘의 조화이지 사람의 짓은 아니야. 연못에 사는 꿩은 열 발자국을 가야만 한번 먹이를 쪼을 수 있고, 백 걸음을 옮겨야 겨우 물 한모금을 마실 수 있지. 그래도 꿩은 우리 안에서 길러지기를 바라지는 않아. 울타리 속의 꿩은 비록 왕과 같이 받아 먹지만 마음이 편안하지는 않거든."
4
노담이 죽자 진일이 조문 가서 세 번 곡만 하고 나왔다. 이에 제자가 물었다.
" 선생님의 친구가 아닌가요?"
" 친구지."
" 그렇다면 이처럼 소홀하게 조문하는 것이 옳은 일입니까?"
" 그렇다네. 처음에 나는 그를 도인으로 알았으나 이제 보니 그렇지 않더군. 조금 전 들어가서 조문을 할 때, 늙은이는 마치 자기 자식이 죽은 듯 곡을 하고, 젊은이는 흡사 자기 어버이라도 죽은 듯이 슬퍼하더군. 그가 죽자 저처럼 사람이 모인 것은 반드시 그가 말로서 바라지는 않았더라도 무언중에 자기 의사를 표시했고, 곡하기를 요구하지는 않았어도 은연중에 그렇게 하기를 바랐기 때문이지. 이는 하늘을 어기고 진실을 배반한 채 부여받은 본성을 망각한 처사라네.
옛날에는 이를 '天然에서 벗어난 죄'라고 일컬었다네. 그가 어쩌다가 이 세상에 태어난 것은 때를 만난 것이고, 우연히 세상을 떠난 것도 생명이 다했기 때문이라네.
시간의 변화에 순수하고 순리대로 처신하면 슬픔도 즐거움도 끼어들지 못하지. 옛날에는 이런 경지를 '본래 면목의 육신의 구속에서 풀려났다'고 이름하였네. 기름은 장작더미 속에서 다 타도 불은 계속 번져 다함이 없는 것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