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경부근 POSTERIOR CERVICAL MUSCLES
후경부근 POSTERIOR CERVICAL MUSCLES
라틴어, logissimus, 가장 긴; capitis, 머리; semispinalis, 극동기의 절반; cervicis, 목.
두최장근(longissimus capitis), 두반극근(semispinalis capitis), 그리고 경반극근semispinalis cervicis) 등이 포함
된다.
기시부(Origin)
두최장근: 상위 다섯 흉추(T1-T5)의 횡돌기, 하위 세 경추(C5-C7)의 관절돌기.
경반극근: 상위 다섯 또는 여섯 흉추(T1-T6)의 횡돌기가로돌기.
두반극근: 하위 네 경추목뼈와 일곱 흉추등뼈(C4-T7)의 횡돌기.
종지부(Insertion)
두최장근: 측두골 유양돌기(mastoid process)의 뒤쪽 부분.
경반극근: 제 2~5 경추의 극돌기.
두반극근: 후두골 상항선(superior nuchal line)과 하항선(inferior nuchal line) 사이.
작용(Action)
두최장근: 머리의 신전 및 회전. 기립 자세와 앉은 자세에서 흉추와 경추의 만곡을 올바로 유지하도록 돕는다.
경반극근: 흉추와 경추부의 신전. 흉추와 경추의 회전을 보조.
두반극근: 머리의 가장 강력한 신전근. 머리의 회전을 보조.
신경(Nerve)
두최장근: 중간 및 하부 경추 신경근들의 배측신경지.
경반극근: 흉추신경근과 경추신경근들의 배측신경지.
두반극근: 경추신경근들의 배측신경지.
기본적인 기능적 동작(Basic functional movement)
두최장근: 만곡을 올바르게 하면서 윗 등을 곧게 유지한다.
경반극근과 두반극근: 예: 고개를 들어 앞을 보거나 또는 뒤를 돌아보기 위하여 머리를 돌린다.
적응증(Indications)
두통. 경부 동통과 뻣뻣함. 경추 굴곡 감소. 후두하통증(Suboccipital pain). 오래 동안의 직업과 관련된 자세로 인한 목의
회전 제한. 편타성 상해(Whiplash injury). 베개를 베고 잘 때 느끼는 통증. 두피에서 느껴지는 타는 듯한 감각.
연관통 패턴(Referred pain patterns)
근 섬유를 따라서 몇몇 부분에서 나타나며, 머리부과 두개골에 대해 위쪽으로, 그리고 이마 부분을 향해 방사됨.
감별 진단(Differential diagnosis)
경추의 역학적인 기능장애. 척추 관절들에서 발생되는 척추관절 병변(Spondyloarthropathy). 추골척추뼈 동맥 증후군. 추간판
병변. 경늑골목갈비뼈(Cervical rib) 기능장애. 류마티스성 다발성 근통(Polymyalgia rheumatica). 류마티스 관절염. 골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파제트병. 건선성 관절병증.
고려 사항(Also consider)
승모근. 척주기립근. 측두근. 이복근(Digastric). 극하근. 견갑거근. 흉쇄유돌근. 두판상근
(Splenius capitis). 경판상근(Splenius cervicis). 후두하근. 후두근.
환자에 대한 조언(Advice to patient)
직업과 관계된 인간공학을 고려. 자세를 올바르게 유지. 목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안경을 적절한 것으로 선택. 인간공학적으로 설계된 베개를 사용. 열치료를 적용하고 스트레칭을 시행. 몸에 맞는 침구류와 베개를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