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지환 철학연구소 2013. 4. 13. 16:20
 

 
<머리의 근육>

1.facial muscle (얼굴근육)

?얼굴근육은 두피와 피부밑에 위치하는 작은 근육들로 구성되며 얼굴에 있는 부위를 움직이기 때문에 mimic muscle (표정근)이라고도 하며 얼굴 신경 facial nerve의 지배를 받는다.

?Epicranius 머리덮개근
머리덮개뼈를 감싸는 근육으로서 앞은 frontalis(이마근), 뒤는 occipitalis(뒤통수근)이며 그 사이는 머리덮개널힘줄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눈꺼풀틈새주의근육
orbicularis oculi(눈둘레근)/corrugator supercilii(눈썹주름근) 및 procerus(눈살근) 등이 있다.
?콧구멍주위근육
nasalis (비근)이라고도 한다.
?입술틈새주위근육
orbicularis oris(입둘레근)/
risorius(입꼬리당김근)/
zygomaticus major(작은광대근)/
levator labii superioris(위입술올림근)/
levator anguli oris(입꼬리올림근)/
depressor anguli oris(입꼬리 내림근)/
depressor labii inferioris(아래입술내림근)/
mentalis(턱끝근) / buccinator(볼근)

2.muscles of mastication(씹기근육)
?머리뼈에서 아래턱뼈에 걸쳐 있는 4가지 근육으로 아래턱을 끌어올리고 또한 좌우로 움직여 음식을 씹는데 관여하는 근육이다.
?근육들은 머리근육과 달리 얼굴신경이 아닌 trigeminal nerve(삼차신경)의 가지인 mandibular nerve(아래턱신경)에 의해 지배된다.
?temporalis(관자근
관자뼈의 가쪽면에서 시작하여 zygomatic arch(광대활) 아래로 하행하여 아래턱뼈의 coronoid process(근육돌기)에 정지한다.
?masseter(깨물근)
광대활에서 턱뼈각 가쪽면으로 퍼진 강력한 근육
?pterygoideus medialis 안쪽날개근
sphenoid bone(나비뼈)의 날개돌기 pterygoid process에서 angle of mandible(턱뼈각) 내면에 정지하며 깨물근과 평행으로 달린다.
?pterygoideus lateralis (가쪽날개근)
나비뼈의 날개돌기에서 아래턱뼈의condylar process( 관절돌기)에 정지한다.
 
<목의 근육>

1.subcutaneous cervical muscle (피부 밑목근육)

platysma(넓은 목근) : 목의 피부밑에 넓게 퍼져 있는 얇은 근육
 
2.lateral cervical muscle(옆목근육)
?한개의 넓고 큰 근육인 목빗근이 목의 가쪽부위에서 복장뼈와 빗장뼈에서 시작하여 목의 후상방으로 주행하여, 관자뼈의 꼭지돌기에 부착하는 근육이다.
3.anterior cervical muscle(앞목근육)
suprahyoid muscle(목뿔위 근육) 과 infrahyoid muscle(목뿔아래근육) 2개의 군으로 분류한다.
?suprahyoid muscle (목뿔위근육)
4개의 근육으로 구성되며 근육은 hyoidbone(목뿔뼈)를 끌어올리며, 연하작용에 관여한다.
(1)digastricus(두힘살근)
(2)stylohyoideus(붓목뿔근)
(3)mylohyoideus(턱목뿔근)
(4)Geniohyoideus(턱끝목뿔근)
?infrahyoid muscle (목뿔아래근육)
4개의 근육으로 구성되며, 이들 근육은 목뿔뼈를 아래로 끌어내리는 작용을 한다.
(1)sternohyoideus(복장목뿔근)
(2)omohyoideus(어깨목뿔근)
(3)sternothyroideus(복장방패근)
(4)thyrohyoideus(방패목뿔근)
?posterior cervical muscle 뒤목근육

1)prevertebral muscle (척추앞근육):
-목뼈와 등뼈의 전방에 있는 근육
longus capitis(긴머리근)/ longus cervicis(긴목근) / rectus capitis anterior(앞머리 곧은근) / rectus capitis lateralis(가쪽머리곧은근)
→근육은 목과 머리를 굽히고 회전시키는 작용을 한다
 
2)lateral vertebral muscle (척추가쪽근육)
scalenus anterior (앞목갈비근) / scalenus medius (중간목갈비근) / scalenus posterior (뒤목갈비근)
→목을 전방 혹은 측방으로 굽히는 작용을 한다.
subclavian artery (쇄골하동맥) 과 팔에 분포하는 척수신경의 집단인 brachial plexus(팔신경얼기)가 목을 지나 팔로 통과되어 지나간다.
 
<등의 근육>

?척주의 후면에 있는 여러 층의 근육들을 총칭하는 것
?위로는 뒤통수뼈에서부터 시작하여 아래로 가슴안의 후면, ilium(엉덩면) 및 sacrum(엉치뼈)에 부착되어 있는 근육들을 말한다.
?근육의 전체적인 작용은 머리와 목을 움직임은 물론 척주를 펴는 폄작용을 하며 한 쪽의 근육 일부가 수축하면 몸을 옆으로 구부리거나 회전시키는 작용을 한다.
 
1.supreficial muscles of the back 얕은 등근육
?뒤통수뼈에서부터 등뼈의 spinous process(가시돌기)까지 걸쳐 있는 삼각형 모양인 trapezius(등세모근) 위치
?아래에는 latissimus dorsi(넓은 등근) 이 엉치뼈와 iliac crest (엉덩뼈능선) 까지 넓게 펼쳐져 있다.
?등세모근은 양쪽을 합치면 카톨릭의 신부가 쓰는 모자의 모양과 같다고 해서 승모근이라고 불리운다.
?등세모근의 깊은 곳에는 어깨뼈와 척추뼈의 가시돌기 사이를 잇는 levator scapulae(어깨올림근), rhomboideus major(큰마름근), rhomboideus minor(작은 마름근) 이 위에서부터 차례로 위치한다.
 
2.deep muscles of the back (깊은등근육)
?얕은 등근육의 깊은 곳에서는 가슴 후면의 상방과 하방에 각각 톱니 모양의 근육인 serratus posterior superior (위뒤톱니근) 과 serratus posterior inferior(아래톱니근)이 가로로 비스듬히 위치한다.
?톱니근의 깊은곳에는 뒤통수뼈와 척주의 양쪽에 걸쳐 수직으로 많은 작은 근육들이 다시 얕은근육층 및 깊은 근육층으로 형성되어 있다.
?깊은 근육들은 전체적으로 척주의 유지, 측방으로 굽힘 및 돌림 등에 작용한다.
 
1)얕은근육층 superficial layer
?splenius(널판근) : 등세모근을 제거하였을 때 머리와 목부위에 관찰되는 근육이다.
?하부의 목뼈와 상부의 등뼈의 가시돌기에서 시작하여 뒤통수뼈와 목뼈의 가로돌기에 부착하는 근육으로 부위에 따라 머리 및 splenius capitis and cervicis(목널판근)로 분류 한다.
?errector spinae(척주세움근) : 넓은 등근을 제거하였을 때 등의 위아래로 달리는 3개의 근육으로 구성된다.
?가장 가쪽에 있는 iliocostalis(엉덩갈비근)이 iliac crest(엉덩뼈 능선)에서부터 가슴안의 후면가쪽을 따라서 위아래로 달리고 있다.
?가장 안쪽에는 목뼈, 등뼈 및 허리뼈의 가시돌기를 서로 연결하는 spinalis(가시근)이 부착하고 있다.
?엉덩갈비근과 가시근 사이에는 척추세움근 중에서 가장 긴 근육인 longissimus(가장긴근)이 위치하고 있다.
 
2)deep layer 깊은 근육층
?깊은등근육은 얕은근육층인 널판근과 척추세움근을 제거하면 관찰되는 근육으로 semispinalis(반가시근) / interspinalis(가시사이근) / intertransversarii(가로돌기사이근) / multifidus(뭇갈래근) / rotatores(돌림근)
?근육은 뒤통수뼈의 하방에서부터 목뼈, 등뼈, 허리뼈 및 엉치뼈에 이르는 동안 각 척추뼈들의 가시돌기와 가로돌기를 서로 연결시켜주고 있다.
 
3)suboccipital muscle
등근육 중 가장 깊은곳에 위치하는 뒤통수밑근육은 고리뼈골, 중쇠뼈골 및 뒤통수뼈와의 사이에 있는 4개의 근육으로서 rectus capitis posterior major(큰뒤머리곧은근) / rectus capitis posterior minor(작은뒤머리곧은근) / obliquus capitis superior(위머리빗근) / obliquus capitis inferior(아래머리빗근)
→작용은 머리의 굽힘, 폄 및 돌림운동에 관여한다.
 
<가슴근육>

?호흡에 관여하는 근육으로 갈비뼈들의 가쪽부분에서 어깨뼈 부착하는 톱니 모양의 serratus anterior(앞톱니근) / 갈비뼈 사이를 메우고 있는 intercostalis(갈비사이근) 및 가슴과 배부위 사이의 경계를 이루고 있는 diaphragm(가로막) 으로 구성
 
1.serratus anterior(앞톱니근)
제 1~9 째갈비뼈의 가쪽부분에서 관찰되는 톱니 모양의 근육으로 기능은 갈비뼈를 올림으로써 호흡의 보조역할을 한다.
 
2.intercostalis 갈비사이근
?흉곽의 확장과 축소를 반복적으로 유발시켜 호흡을 유발시키는 근육들이다.
?갈비뼈 사이의 바깥층으로부터 intercostalis extermus (외늑간근) 과 intercostalis internus (내늑간극) 이 있고 갈비뼈 사이의 전방에 transeversus thoracis(흉횡근) 후방에 levatores costarum(늑골거근) 및 가쪽에 subcostalis(갈비아래근)이 있다.
3.diaphragm 가로막
?복장뼈/갈비뼈/허리뼈에 부착되어 있다.
?3개의 구멍이 뚫려 있다
?aortic hiatus(대동맥 구멍) : aorta(대동맥)과 가슴관 thoracic duct 이 지나간다.
?esophageal hiatus(식도구멍) : esophgus(식도) 와 vagus nerve(미주신경)
?vena caval foramen(대정맥구멍) : inferiovena cava (아래대정맥)
 
<배부위의 근육>

1.앞벽 및 가쪽벽을 구성하는 근육 3개의 근육층
?배벽의 앞쪽에 수직으로 rectus abdominis(배곧은근)
?obliquus externus(배바깥빗근) & obliquus internus(배속빗근)
?transversus abdominis(배가로근)
?linea alba(백선) : 양측의 배곧은근이 만나는 정중선상에 수직으로 생기는 선으로 배부위 근육들의 널힘줄이 모여 형성된 인대의 일종이다.
?inguinal ligament(샅인대)★ : 힘줄이 두꺼워져 생긴 인대로서 배부위와 넓적다리를 경계짓고 있다.
 
2.후복벽을 구성하는 근육
?허리네모근은 엉덩뼈능선에서 시작하여 위로 제 12갈비뼈와 제 1~4허리뼈를 연결하는 근육이다.
?허리네모근을 제외한 나머지 3개의 근육은 다리의 근육에 속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