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엄현담 4 故로 下經에 云如海普現衆生身일새 以此說名爲大海라 菩提普印諸心行일새 是故正覺名無量이라하니라 非唯智現物心이라 亦依此智하야 頓現萬象하야 普應諸類하나니 賢首品에 云或現童男童女形과 天龍及以阿修羅와 乃至摩喉羅伽等하야 隨其所樂悉令見이로다 衆生形相各不同하며 行.. 정법안장正法眼藏/화엄지해 華嚴之海 2012.09.10
화엄현담 3 大方廣佛華嚴經疏序演義鈔卷第一(經前懸談盡八卷終) 淸凉山大華嚴寺沙門澄觀撰述 將釋此疏에 大分爲四호리니 初는 總序名意요 二는 歸敬請加요 三은 開章釋文이요 四는 謙讚廻向이니 爲順經文에 有四分故라 若順序正流通則合前二하야 爲序分이요 開章은 爲正宗이요 謙讚이 爲.. 정법안장正法眼藏/화엄지해 華嚴之海 2012.09.10
화엄현담 2 大方廣佛華嚴經隨疏演義鈔序 淸凉山大華嚴師沙門澄觀撰述 至聖이 垂誥하사 鏡一心之玄極하시고 大士- 弘闡하사 燭極言之幽致로다 雖忘懷於詮旨之域이나 而浩瀚於文義之海라 蓋欲寄象檕之迹하야 窮無盡之趣矣시니 斯經文理는 不可得而稱也로다 晉譯秘典에 賢首- 頗得其門하.. 정법안장正法眼藏/화엄지해 華嚴之海 2012.08.29
화엄현담 1 御製大方廣佛華嚴經序 蓋聞호니 統萬法唯一理로 貫萬古唯一心이라 心也者는 萬法之源이요 衆妙之體니 靈明不昧하며 淸淨空寂하야 非色相之可求며 非比量之可擬라 故로 有無知之知와 不用之用하니 惟不泥知故로 無所不知요 惟不泥用故로 無所不用이니 所以로 森羅寶印而周徧沙.. 정법안장正法眼藏/화엄지해 華嚴之海 2012.08.29
화엄경에 나타난 보살사상 화엄경에 나타난 보살사상 안 정 수 목 차 Ⅰ.서론 4.보살행의 전제 조건 Ⅱ.본론 5.보살의 구체적인 실천행 1.보살의 정의 Ⅲ.결론 2.화엄경에서 보살사상을 설하는 품 Ⅳ.참고문헌 3.보살도의 구조 Ⅰ.서론 화엄경(華嚴經)이 불교에 있어서 차지하는 비중이 얼마나 중요한가 하는 사실은 .. 정법안장正法眼藏/화엄지해 華嚴之海 2012.04.06
화엄경해설 7 - 終 제16강 화엄경의 내용-보현행원품 지금까지《팔십화엄》의 전체 구성과 그 내용을 대강 살펴보았다. 이제《팔십화엄》에는 없으나 우리 주변에〈보현행원품〉으로 널리 지송되는 보현보살의 10종 대원 부분을 잠깐 살펴보겠다.〈보현행원품〉이란〈입법계품〉전체를 가리키는 말이.. 정법안장正法眼藏/화엄지해 華嚴之海 2012.04.06
화엄경해설 6 제14강 화엄경의 내용-여래출현․제8회 이세간품 여래출현의 10종법 가운데 이어서 네번째 여래심부터 살펴보기로 한다. (4) 여래심 여래심은 바로 여래성기심으로서 여래출현에 있어서 특히 중요시되어온 교설 부분이다. 이 역시 10종심이 있음을 보이며 이 마음은 지혜와 같이 쓰이.. 정법안장正法眼藏/화엄지해 華嚴之海 2012.04.06
화엄경해설 5 제11강 화엄경의 내용 -제6회 십지품 제6회는 십지법문을 설하는〈십지품〉한 품이다. 따라서 이〈십지품〉은 다른 회에서 설법좌가 마련되는 부분까지〈십지품〉내에 함께 교설되어 있다. 26. 십지품 십지사상은 인도 대승불교사상사의 전개과정에서 뺄 수 없는 주맥이 되고 있는 사상.. 정법안장正法眼藏/화엄지해 華嚴之海 2012.04.06
화엄경해설 4 21. 십행품 공덕림보살이 선사유삼매에 들었다가 깨어나 보살의 10가지 행을 말씀하였다. 즉 즐거운 행〔歡喜行〕․이로운 행〔饒益行〕․어김이 없는 행〔無違逆行〕․굽힘이 없는 행〔無屈撓行〕․어리석거나 어지러움이 없는 행〔無痴亂行〕․잘 나타나는 행〔善現.. 정법안장正法眼藏/화엄지해 華嚴之海 2012.04.06
화엄경해설 3 제6강 화엄경의 내용 -해인삼매 〈현수품〉에는 신심이 원만 성취되면 얻어지는 신심의 공능으로서 삼매가 설해져 있다.《화엄경》의 총정인 해인삼매도 교설되어 있다. 이 해인삼매는 어떠한 삼매이며, 어떻게 모든 삼매 중 으뜸인 것으로 부각되어 갔는가. 그리고 해인삼매를 얻게 .. 정법안장正法眼藏/화엄지해 華嚴之海 2012.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