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한의(漢醫, 韓醫)/건강정보

테이핑 요법

윤지환 철학연구소 2012. 9. 10. 23:12

테이핑요법

테이핑 요법이란 말그대로 테이프를 붙여서 병을 치료 하는 것을 말하는 것입니다. 테이프를 붙여서 어떻게

병을 치료 할것이냐 라고 말을 하는데 테이핑은 의학적인 테이터 베이스를 가지고 있는 치료 방법입니다.

테이프라는 것은 피부에 붙어서 피부에 어떤 전자기 적인 흐름에 변화를 주고 그 전자적인 흐름이 좋은 방향

유도하게끔해서 몸의 병 예로 관절염 이라든지 어깨 목 통증같은 흔하게 접할 수 있는 병에서 일반적인 물리치료

보다도 효과가 좋은 치료 방법 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테이핑의 기본적인 기전

인체의 안과 밖은 전자기적인 흐름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협심증이 있으면 좌측 앞가슴과 좌측 팔의 안쪽을 따라 새끼손가락까지 통증이 전달되고 담석증이 있으면 우측
어깨에도 통증을 느끼게 된다.  이런 것을기존의 생리학에서 연관통이라고 하는데, 결국 신경계(자율신경과 체성신경)의

중간 역할 때문에 일어 나는 현상이고 신경전달은 (-)이온과 (+)이온의 변화에  따른 전자기적 흐름이라고 생리학에서는 밝히고 있다.

 

 

1. 방계의 판정 : 좌방계 / 우방계 테이프의 방향 및 축

 1) 계의 판정이란 좌방계인지 우방계인지를 판정

 2) 계를 판정하는 목적은 계의 방향과 테이프의 방향을 판정하는데 있고,

     테이프의 방향은 계의 형태가 판정되면 자동으로 정해짐

 3) 좌방계는 롤테이프를 말초방향에서 왼쪽으로 감고, 격자테이프(3*4)는 4줄로

     된 곳을 좌측으로 45도(좌상)로 붙인다.

 4) 우방계는 롤테이프를 말초방향에서 오른쪽으로 감고, 격자테이프(3*4)는 4줄로

     된 곳을 우측으로 45도(우상)로 붙인다.

 

2. 좌방계 / 우방계의 양경 / 음경의 흐르는 방향 

 

3. 좌방계 / 우방계 테이핑의 기본 패턴 

 

4. 방계 판정법

 1) 전완 배측에 좌상으로 테이프를 붙이고 ST검사의 결과가 양성이면, 즉 힘이 강해지면 좌방계

 2) 전완 배측에 우상으로 테이프를 붙이고 ST검사의 결과가 양성이면, 즉 힘이 강해지면 우방계

 

 

1. 목의 회선제한의 판정법 : 주종의 판정

 1) 목의 회선제한에 의해 테이핑의 선 후 / 주 종의 판정을 할 수가 있다.

 2) 테이프를 붙이는 부위가 횡격막을 경계로 위, 아래에 존재하는 경우

     우회선제한은 상부로 부터 테이핑을 하고 하부를 테이핑,

     좌회선제한은 하부로 부터 테이핑을 하고 상부를 테이핑.

 3) 목의 회선제한과 동통 출현 부위와의 관계성에는 횡격신경과

     미주신경이 관련되어 있다고 사료된다. 

 

2. 도수검사

 1) 한손을 환자의 경부 뒤쪽에 대고 다른 한손을 환자의 하악 측면에대고 천천히

     회선시키면서 회선제한의 유무를 판정  

 

3. 어제혈 압박에 의한 판정

 1) 좌/우의 어제혈을 시술자의 모지로 동시에 압박하여 환자가 압통을 호소하는 쪾에

     목의 회선제한이 있다. 

 

4. 참고

 1) 림프주행이 범위에 따라 나누고 여기에 관여하는 것은 미주신경과 횡격신경이다.

     미주신경과 C3,4,5에서 나오는 횡격신경, 임파 주행에 따라 좌회선과 우회선으로 나눈다.

     스파이랄 테이핑은 몸의 바란스가 어떠한 상태인가를 알 수 있는 방법으로 근의 압통, 근의 긴장을

     중심으로 판정하고 있고 신체의 일정부분을 단위로 근 긴장, 압통을 조사 했었을 때

     일정한 법칙을 발견 정리한 것이다. 

     신체전체의 상관관계를 조사하던 중 회선제한이 존재하는 방향의 모지구(어제 혈)에 이상 근 긴장,

     동통이 출현한다는 것을 알았다.

     우측에 존재하는 사람은 호흡기계. 순환기계를 중심으로 아픈 곳이 많았고

     중추신경, 말초신경계의 이상으로부터의 통증도 많았다.

     좌측에 존재하는 사람은 소화기계, 비뇨기계 및 근육 및 뼈의 이상으로 부터의 통증이 많이 나타났다.

 2) 호흡은 여러 개의 근육들이 작용을 돕고 있지만 크게 접근해 보았을 때 흡기 시 목에 있는 사각근이

     갈비뼈를 들어 올리는 작용을 하고 가슴에 있는 횡격막은 동시에 복부 쪽으로 밀어 내려오며,

     하부늑골을 벌려주고 골반 횡격막(골반저 근육 Pelvicfloor Muscle)은 복압을 낮추기 위해 이완된다.

     따라서 목이 측굴 되어 균형을 이루고 있지 못하면 양쪽 목에 붙어 있는 사각근이 흡기 시 동일하게

     양쪽의 늑골을 들어 올리지 못하고 불균형하게 늑골을 들어 올리게 된다.

     그러면 횡격막 또한 불균형하게 복부 쪽으로 밀려 내려오게 되며, 하부늑골

     또한 동일하게 벌려주지 못하게 된다. 

 3) 목의 회선제한과 관계하는 것은 사각근이다.

     사각근은 호흡을 할 때 좌우 늑골을 들어 올리는 작용을 하는데 어는 한쪽에 회선제한의 문제가 있으면

     좌우 늑골을 균형 있게 들어 올리지 못한다. 그래서 나타나는 여러가지 증상이 나타난다. 

 

 

만성적으로 목 부위가 아플 떄


1. 증상소개
한달 이상 만성적으로 목 뒷부분이 아픈 경우의 테이핑요법을 알아보자. 주로 자세가 나쁜 사람이나 컴퓨터 작업을 하는 사람 중 컴퓨터 키보드의 높이가 자신과 맞지 않는 경우,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경우, 수험생이나 임산부들이 허리와 함께 목 뒷부분이 아픈 경우에 많이 발생하며 통증은 보통 한달 이상 지속된다.
만성 목 부위 통증의 대표적인 원인으로 승모근과 능형근의 긴장을 들 수 있다. 승모근과 능형근은 스트레스를 많이 받을 경우 긴장되는 근육이라서 흔히 스트레스 근육이라고 부른다. 고개를 숙이거나 뒤로 젖히는 경우에 목이 뻣뻣하고 어깨 위로 상당히 무거운 느낌이 들고, 날갯죽지(견갑골) 안쪽을 눌렀을 때, 또는 어깨를 살짝 눌렀을 때 극심한 통증이 있는 경우에 만성 목 부위 통증으로 진단할 수 있다.

2. 테이프 형태
두판상근 테이프 : 폭 5cm, 길이 20cm, Y자형 테이프 1개
승모근 테이프 : 폭 5cm, 길이 20cm, I 자형 테이프 1개
능형근 테이프 : 폭 5cm, 길이 10cm, X자형 테이프 1개


3. 테이핑 방법 

두판상근 테이핑
① 고개를 앞으로 숙인 상태에서 머리카락이 끝나는 부위에 Y자형의

    아랫부분을 고정시킨다.
② 목 가운데 튀어나온 뼈를 중심으로 Y자형의 두 갈래를 테이프를

    당기지 않은 상태에서 양옆으로 벌려 붙인다.




승모근 테이핑
① 테이핑을 하는 반대방향으로 목을 젖혀 승모근을 스트레칭시킨다.
② 어깨선을 따라 테이프를 붙인다. 어깨에서부터 목으로 붙이든,

   목에서부터 어깨로 붙이든 환자가 편한 방향으로 붙인다.
③ 그 아래에 테이프를 하나 더 붙여 보강한다.



승모근 테이핑(반대쪽)
① 테이프를 붙이는 반대방향으로 고개를 젖혀 승모근을 스트레칭시킨다.
② 같은 방식으로 테이프를 2개 붙인다.



능형근 테이핑
① 능형근이 최대한 스트레칭 되도록 고개를 숙이고 양팔을 엇갈리게 해서 가슴을 감싸안는다.
② 그 상태에서 X자형 테이프를 능형근의 방향에 따라 붙이고 반대쪽도 같은 방법으로 붙인다.

4. 완성 형태
만성 목 통증에 아래와 같이 테이프를 붙이게 되면 상당히 가벼운 느낌이 들고, 특히 자고 난 후 몸이 가벼워짐을 느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