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교통사고로 인한 증및 외상성 경부통의 경우(편타성 손상)
1) 우측(전면)
- 갑상연골과 흉쇄유돌근 사이의 전사각근 위(갑상연골과 SCM 사이)
- 제 6,7늑골의 우측 유두선에서 약간 내측(6~7th Rib, 유두선상 3횡지 하방 약간내측)
2) 좌측(후면)
- 제 5,6경추의 좌측 후경부 기립근 및 견갑거근 위(C5 좌측 2횡지)
- 제 7이나 제 9늑골 좌측 기립근위의 압통을 비교하여 압통이 강한 쪽(좌측 2횡지)
3) 방계에 따라 격자테이프를 붙인다.
1. 수독, 어혈의 판정법
1) 수독, 어혈의 판정법은 신체 내에 흐르는 체액을 수독과 어혈의 두가지로 분류한다.
- 수독은 물의 질자체의 악화 또는 수분의 대사 장해에서 일어나는 증상을 말하고
어혈은 피의 질자체의 악화 또는 피의 정체로 일어나는 증상이다.
2) 수독, 어혈은 복부에서 판정한다. 동양의학의 진단에서는 우하복부가 수독의 진단점으로,
좌하복부가 어혈증상의 진단점으로 되어 있다. 이것은 해부학적으로 상장간맥, 동맥, 정맥, 신경의 지배와
하장간막, 동맥, 정맥, 신경의 지배에 의해 장에서 흡수되는 것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대장의 상행결장, 횡행결장은 수분 흡수가 가장 중요한 작용이고 수분의 반응이 이 부분에서 나타난다.
한편 하행결장, S상결장부에서는 변비 등이 생겼을 때 변독이 흡수되므로 피가 오염되게 된다.
고전에서는 좌하복부가 간으로 돌아가는 곳 즉 (문맥)이라고 쓰여 있는데 그 근거가 여기에 있음을 엿볼 수 있다.
3) 수독, 어혈의 반응점
- 수독 : 배꼽 중심에서 우측으로 3횡지부에서 아래로 3횡지 내려간 부위
- 어혈 : 배꼽 중심에서 좌측으로 3횡지부에서 아래로 3횡지 내려간 부위
4) 반응점이 수독인 경우 관련 증상
- 전신통증
- 부종(손, 발, 얼굴)
- 구토
- 가래, 천식, 심한기침
- 설사
- 피부질환
- 배에서 소리가 난다
- 소화기 장애
5) 반응점이 어혈인 경우 관련 증상
- 만성피로 증후군
- 근육경련, 권태감, 정력저하
- 변비
- 피부건조
- 입이 헐다
- 손톱백색
- 심장이 두근두근거림
- 타박시 피하출혈
- 비뇨생식기 기능저하, 여성 - 생리불순, 생리통
1. 생리통 경감 테이핑
1) 여성은 사춘기가 되면 월경을 시작한다. 생리라고도 하는 월경은 여성에게 있어서 생리적인 표상이다.
월경이 시작되면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많은 여성이 하복부가 당기고 허리가 아프며 다리가 나른하고
두통 등으로 고민한다.
이것을 통털어 '생리통'이라고 한다.
2) 침구에서는 생리통 환자들에게 삼음교, 혈해 등 발의 급소를 치료하여 커다란 효과를 올렸다.
그러나 밸런스 요법에서는 심한 생리통을 호소하는 환자에게 무릎 뒷부분인 다리오금의 위중이라는
경혈점을 이용한다.
이곳에 밸런스 요법을 시행하면 심하던 생리통이 그 자리에서 가벼워져 놀라는 일이 허다하다.
3) 생리가 시작되기 5~6일 전에 테이프를 붙여두면 생리통이 경감된다.
2. 테이프 붙이는 방법-1
1) 우측 위중혈에는 4줄 테이프의 방향이 좌측 엉덩이를 향하도록 테이프를 붙이고,
좌측 위중혈에는 4줄 테이프의 방향이 우측 엉덩이를 향하도록 테이프를 붙인다.
즉, 4줄 테이프의 방향이 45도 각도로 마주보게 붙인다.
위중
3. 테이프 붙이는 방법-2
1) 하복부와 천골부위에 크로스테이프를 붙인다.
2) 천골부위에 먼저 붙이고, 증상이 중할때는 하복부에도 붙인다.
하복부
천골부위
4. 위중(합혈)
1) 슬와횡문의 중앙으로 대퇴이두근건과 반건양근의 중간에 있다.
'건강, 한의(漢醫, 韓醫) >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0세 할아버지, 60세 연하女와 ‘두번째 결혼’ (0) | 2012.09.12 |
---|---|
비공식 최고령男 장수비결- 술 담배 여자 금지 (0) | 2012.09.12 |
테이핑 요법 (0) | 2012.09.10 |
삽주 (백출 창출) (0) | 2012.08.27 |
금지약물 그리고 인생을 망친 소녀선수 (0) | 2012.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