果部 과실부(果部) 과실부[果部] 모두 91가지이다. 연실(蓮實, 연밥) 성질은 평(平)하고 차며[寒] 맛이 달고[甘] 독이 없다. 기력을 도와 온갖 병을 낫게 하며 5장을 보하고 갈증과 이질을 멈춘다. 또한 정신을 좋게 하고 마음을 안정시키며 많이 먹으면 몸이 좋아진다[본초]. ○ 12경맥의 기혈을 보.. 건강, 한의(漢醫, 韓醫)/동의보감 2013.08.26
蟲部 벌레부(蟲部) 벌레부[蟲部] 모두 95가지이다. 백밀(白蜜, 꿀) 성질이 평(平)하고(약간 따뜻하다[微溫]고도 한다)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5장을 편안하게 하고 기를 도우며 비위를 보하고 아픈 것을 멎게 하며 독을 푼다[解]. 여러 가지 병을 낫게 하고 온갖 약을 조화시키며 비기(脾氣)를 보.. 건강, 한의(漢醫, 韓醫)/동의보감 2013.08.26
魚部 물고기부(魚部) 물고기부[魚部] 모두 53가지이다. 이어담(鯉魚膽, 잉어쓸개) 성질이 차고[寒] 맛이 쓰며[苦] 독은 없다. 청맹과니[靑盲]를 낫게 하고 눈을 밝게 한다. 눈에 열이 있어 피가 지면서[赤] 아픈 것과 귀머거리를 치료한다. ○ 눈에 넣으면 피가 지고 부었던 것과 예막[싄]이 생.. 건강, 한의(漢醫, 韓醫)/동의보감 2013.08.26
獸部 약으로로 쓰는 짐승(獸部) 약으로 쓰는 짐승[獸部] 모두 136가지이다. 용골(龍骨) 성질은 평(平)하고(약간 차다[微寒]고도 한다)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약간 독이 있다고도 한다). 정신이 좋아지게 하고 혼백을 안정시키며 5장을 편안하게 하며 사기(邪氣)를 몰아내고 심신(心神)을 진정시.. 건강, 한의(漢醫, 韓醫)/동의보감 2013.08.26
禽部 약으로 쓰는 새(禽部) 약으로 쓰는 새[禽部] 모두 107가지이다. 단웅계육(丹雄鷄肉, 붉은 수탉의 고기) 성질이 약간 따뜻하고[微溫](약간 차다[微寒]고도 한다)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주로 여자의 붕루[崩中漏下]와 적백대하[赤白]를 치료하는데 허(虛)한 것을 보(補)하고 속[中]을 따뜻하.. 건강, 한의(漢醫, 韓醫)/동의보감 2013.08.26
人部 인부(人部) 인부(人部) 모두 4가지이다. 난발(亂髮) 성질이 약간 따뜻하고[微溫] 맛이 쓰다[苦]. 피를 흘리는 것[失血]을 주로 치료하는데 코피를 멎게 하고 골저(骨疽)와 여러 가지 헌데[雜瘡]를 낫게 한다[본초]. ○ 어혈(瘀血)을 삭히고 관격(關格)된 것을 통하게 하며 오줌이 잘 나가게 하.. 건강, 한의(漢醫, 韓醫)/동의보감 2013.08.26
穀部 약으로 쓰는 곡식(穀部) 약으로 쓰는 곡식[穀部] 자연계에서 사람의 생명을 유지하게 하는 것은 곡식이다. 이것은 흙의 기운을 받았기 때문에 치우치는 성질이 없이 고르고 맛이 슴슴하면서 달다[淡甘]. 그리고 성질이 평(平)하면서 고르며 보하는 것이 세고 배설이 잘 되기 때문에 오랫동.. 건강, 한의(漢醫, 韓醫)/동의보감 2013.08.26
土部 약으로쓰는 흙(土部) 약으로 쓰는 흙[土部] 흙에서 만물이 생기므로 2번째에 놓았다. 모두 18가지이다. 복룡간(伏龍肝) 오랜 가마밑 아궁이바닥의 누런 흙이다. 성질은 약간 따뜻하고[微溫] 맛이 매우며[辛] (짜다[옣]고도 한다) 독이 없다(성질이 열(熱)하고 약간 독이 있다고도 한다). 코.. 건강, 한의(漢醫, 韓醫)/동의보감 2013.08.26
水部 탕액서례(湯液序例) 약을 채취하는 방법[採藥法] 약을 캐는 시기는 대체로 음력 2월과 8월이다. 이때에 채취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이른 봄에는 뿌리에 있는 약물이 오르려고는 하나 아직 가지와 잎으로는 퍼지지 않고 제대로 다 있기[勢力淳濃] 때문이다. 그리고 가을에는 가지와 잎이 .. 건강, 한의(漢醫, 韓醫)/동의보감 2013.08.26
탕액서례(湯液序例) 탕액서례(湯液序例) 약을 채취하는 방법[採藥法] 약을 캐는 시기는 대체로 음력 2월과 8월이다. 이때에 채취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이른 봄에는 뿌리에 있는 약물이 오르려고는 하나 아직 가지와 잎으로는 퍼지지 않고 제대로 다 있기[勢力淳濃] 때문이다. 그리고 가을에는 가지와 잎이 .. 건강, 한의(漢醫, 韓醫)/동의보감 2013.0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