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5장 <玄符> 덕이 깊음은 어린아이와 같다.
含德之厚, 比於赤子, 蜂채훼蛇不석, 猛獸不據, 攫鳥不搏.
함덕지후, 비어적자, 봉채훼사불석, 맹수불거, 확조불박.
骨弱筋柔而握固. 未知牝牡之合而全作, 精之至也.終日號而不사, 和之至也.
골약근유이악고. 미지빈모지합이전작, 정지지야.종일호이불사, 화지지야.
知和曰常, 知常曰明.益生曰祥, 心使氣曰强. 物壯則老. 謂之不道. 不道早已.
지화왈상, 지상왈명.익생왈상, 심사기왈강. 물장즉노. 위지부도. 부도조이
덕을 두터이 품은 사람은 어린아이와 같아 벌도 전갈도 뱀도 쏘거나 물지 않고, 맹수도 덤비지 않고, 사나운 새도 덮치지 않는다. 뼈는 약하고 근육은 부드럽지만 쥐는 힘은 강하다. 암수의 교합에 대해 아직 모르지만, 생식기가 저절로 일어서는 것은, 정기가 극치의 상태이기 때문이다. 종일을 울어도 목이 쉬지 않는 것은, 조화가 극치의 상태에 있기 때문이다. 조화를 아는 것을 변함이 없는 도라 하고, 변함없는 도를 아는 것을 밝은 지혜라 한다. 무리하여 연명하는 것을 좋지 못한 징조라 하고, 마음으로 기를 다스려 쓰는 것을 강하다고 한다. 만물의 기세가 너무 왕성하면 곧 쇠퇴하는 것을, 일컬어 영원히 변치 않는 도가 아니라 한다. 자연의 도가 아닌 것은 금방 그치고 만다.
■ 56장 <玄德> 아는 사람은 말하지 많지 않다
知者不言, 言者不知, 塞其兌, 閉其門, 挫其銳, 解其紛,
지자불언, 언자부지, 색기태, 폐기문, 좌기예, 해기분,
和其光, 同其塵, 是謂玄同,故不可得而親, 不可得而疎, 不可得而利, 不可得而害,
화기광, 동기진, 시위현동,고불가득이친, 불가득이소, 불가득이리, 불가득이해,
不可得而貴, 不可得而賤, 故爲天下貴.
불가득이귀, 불가득이천, 고위천하귀.
참으로 아는 사람은 말하지 않고, 말하는 사람은 참으로 알지 못한다. 감각의 구멍을 막고 욕망의 문을 닫으며 예리함은 무디게 하고, 복잡함은 풀어 없애며 앎의 빛을 흐리게 하여 혼탁한 먼지와 동화된다. 이것을 도와의 현묘한 합일이라고 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현묘한 합일을 이룬 사람은 얻어 친근히 여기지 않고, 소홀히 여기지도 않으며 얻어서 이롭다 여기지 않고, 해롭다 여기지도 않으며 얻어서 귀히 여기지 않고, 천히 여기지도 않는다. 그러므로 천하에 더할 수 없는 가치가 된다.
■ 57장 <淳風> 법령이 많을수록 도둑은 는다
以正治國, 以奇用兵, 以無事取天下,吾何以知其然哉, 以此, 天下多忌諱,
이정치국, 이기용병, 이무사취천하,오하이지기연재, 이차, 천하다기휘,
而民彌貧, 民多利器, 國家滋昏,人多伎巧, 奇物滋起, 法令滋彰, 盜賊多有,
이민미빈, 민다리기, 국가자혼,인다기교, 기물자기, 법령자창, 도적다유,
故聖人云, 我無爲而民自化, 我好靜而民自正,我無事而民自富, 我無欲而民自樸.
고성인운, 아무위이민자화, 아호정이민자정,아무사이민자부, 아무욕이민자박.
나라는 정의로 다스려야 하고, 전쟁은 기이한 계교로 한다. 하지만 천하는 행하지 않음으로 얻을 수 있다. 내가 그것을 어떻게 아느냐 하면 이것에 의해서다. 세상에 규제하는 것이 많을수록 백성들은 가난해 지고 백성에게 문명의 이기가 많을수록 나라는 혼란에 빠지고 사람들이 기교를 많이 부릴수록 기이한 물건이 많이 나오고 법령이 많이 정비되면 될 수록 도둑은 더 많이 늘게 된다. 성인이 말하기를, 내가 무위로 대하면 백성들은 감화되고 내가 고요히 있는 것을 좋아하면 백성이 바르게 되고 내가 무위무사하면 백성들은 저절로 풍족해 지고 내가 욕심을 부리지 않으면 백성들이 통나무처럼 순박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