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옹록
보제존자어록 서 (普濟尊者語錄 序)
현릉 (玄陵:공민왕) 의 스승 보제존자는 서천 지공 (指空) 스님과 절강 (江) 서쪽의 평산 (平山) 스님에게서 법을 이어받아 종풍 (宗風) 을 크게 펼쳤다. 그러므로 스님의 한두 마디 말이나 짤막한 글귀라도 세상에서 소중히 여길 만하기에 어록을 펴내는 것이다.
스승의 도가 세상에 행해지느냐 행해지지 않느냐는 오로지 뒷사람들의 손에 달려 있다. 그런데 뒷사람들이 스승의 도를 알려면 그 분의 어록을 통하지 않고는 길이 없기 때문에, 자연히 제자들로서는 어록 출판에 힘쓰게 되는 것이다.
내가 변변찮은 재주에 왕명을 받들어 명 (銘) 을 짓고 또 그 어록을 추천하게 되었으니, 이것이 나의 행인가 불행인가는 뒷사람이나 알 것이다.
스님의 제자 각우 (覺) ․각연 (覺然) ․각변 (覺卞) 등이 옛 본을 교정하여 출판하려고 내게 서문을 청하므로 여기에 간단히 쓰는 바이다.
창룡(蒼龍) 기미년(1379) 8월 16일에 한산군(韓山君) 이색(李穡) 씀.
서 (序)
행촌공 (杏村空:李嵒. 고려말의 문신, 문하시중) 이 나옹스님에 관한 기록을 내게 보이면서, 나옹스님은 연도 (燕都) 에 가서 유학하고 또 강남 (江南) 으로 들어가 지공 (指空) 스님과 평산 (平山) 스님을 찾아뵙고 공부하고는 법의 (法衣) 와 불자 (拂子) 를 받는 등, 오랫동안 불법에 힘써 왔다고 하였다.
원제 (元帝) 는 더욱 칭찬하고 격려하며 광제선사 (廣濟禪寺) 에 머물게 하고, 금란가사 (金聆袈裟) 와 불자를 내려 그의 법을 크게 드날렸으며, 또 평소에도 스님의 게송을 사람들에게 많이 보여 주었다고 한다.
본국으로 돌아와서는 산수 (山水) 속에 자취를 감추었는데, 왕이 스님의 이름을 듣고 사자를 보내 와주십사 하여 만나보고는 공경하여 신광사 (神光寺) 에 머무시게 하였다. 나는 가서 뵈오려 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던 차에, 하루는 스님의 문도가 스님의 어록을 가지고 와서 내게 서문을 청하였다.
그때 나는 "도가 같지 않으면 함께 일을 도모할 수 없는 법이오. 나는 유학 (儒學) 하는 사람이라 불교를 모르는데 어찌 서문을 쓰겠소"라고 하였다. 그러나 옛날 증자고 (曾子固) 는 "글로써 불교를 도우면 반드시 비방이 따른다. 그러나 아는 사이에는 거절할 수가 없다" 하였다.
지금 스님의 어록을 보니 거기에 `부처란 한 줄기 풀이니, 풀이 바로 장육신 (丈六身:佛身) 이다'라는 구절이 있는데, 이것이면 부처님 은혜를 갚기에 족하다.
나도 스님에 대해 말한다.
나기 전의 면목을 이미 보았다면 한결같이 향상 (向上) 해 갈 것이지 무엇하러 오늘날 사람들에게 글을 보이는가. 기어코 한 덩이 화기 (和氣) 를 얻고자 하는가. 그것은 어떤 말로도 표현할 수 없다. 나도 이로써 은혜 갚았다고 생각하는데, 스님은 어떻게 생각하는가. 스님은 지난날 지공스님과 평산스님을 스승으로 삼았는데, 지공스님과 평산스님도 각각 글을 써서 법을 보였다.
소암 우공 (邵艤虞公) 의 서문에는 다음과 같이 씌어 있다.
천지가 하나로 순수히 융합하니
한가한 몸이 온종일 한결같다
왔다갔다하다가 어디서 머물까
서른 여섯의 봄 궁전이다.
地天一醇融 閑身盡日同
往來何所缺 三十六春宮
대개 이치에는 상 (象) 이 있고 상에는 수 (數) 가 있는데, 36은 바로 천지의 수다. 천지가 합하고 만물이 자라는 것이 다 봄바람의 화기에 있듯이, 이른바 하나의 근본이 만 가지로 달라진다는 것도 다 이 마음이 움직일 수 있고 그치게 할 수 있는 것으로서, 나옹스님의 한마디 말씀에서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부디 지공스님이나 평산스님의 전하지 않은 이치를 전해 받아 자기의 법도로 삼아야 할 것이다.
지정 (至正) 23년 (1363) 가을 7월 어느날,
충겸찬화공신 중대광문하찬성사 진현관대제학 지춘추관사치사 직산담암 백문보 화보 (忠謙贊化功臣重大翠門下贊成事進賢舘大提學知春秋舘事致仕稷山淡艤白文寶和父) 는 삼가 서한다.
탐명 (塔銘)
전조열대부 정동행중서성좌우사랑 중문충보절동덕 찬화공신 중 대광한산군 예문관대제학지춘추관사 겸 성균대사성 지서연사 신이색 봉교찬 〔前朝列大夫征東行中書省左右司中文*忠報節同德贊化空臣重*大匡韓山君藝文舘大提學知春秋舘事*成均大司成知書事*臣李穡 奉敎撰〕
수충찬화공신 광정대부 정당문학예문관대제학 상호군제점서운관사 신권중화 봉교서병단전액 〔輸忠贊化空臣翠紛大夫政堂文學藝文舘大提學上護軍提點書雲觀事臣權仲和奉敎書幷丹*額〕
현릉 (玄陵) 20년 (1370) 경술 9월 10일에 왕은 스님을 서울로 불러들이시고, 16일에는 스님이 머무시는 광명사 (廣明寺) 로 나아가셨다. 양종오교 (兩宗五敎) 의 제방 납자들을 많이 모아 그들의 공부를 시험하고, 그것을 공부선 (功夫選) 이라 하여 임금이 친히 나가 보셨다.
스님은 향을 사른 뒤에 법좌에 올라 말씀하셨다.
"고금의 격식 〔臼〕 을 모두 부수고 범성 (凡聖) 의 자취를 다 쓸어버리며, 납자의 목숨을 끊어버리고 중생의 의심을 떨어버린다. 잡았다 놨다 함이 손안에 있고 신통 변화는 작용 〔機〕 에 있으니, 3세 부처님이나 역대 조사님네나 그 규범은 같도다. 이 법회에 있는 여러 스님네는 사실 그대로 대답하시오."
그리하여 차례로 들어와 대답하게 하였는데, 모두 몸을 구부리고 땀을 흘리면서 모른다고 하였다. 어떤 이는 이치는 알았으나 일에 걸리기도 하고, 혹은 너무 경솔하여 실언하기도 하며, 한마디 하고는 물러가기도 하였으므로 임금은 매우 불쾌한 빛을 보이는 것 같았다.
끝으로 환암 혼수 (幻庵混修) 스님이 오자 스님은 3구 (三句) 와 3관 (三關) 을 차례로 묻고, 법회를 마치고는 회암사 (檜岩寺) 로 돌아가셨다.
신해년 (1371) 8월 26일에 임금은 공부상서 장자온 (工部尙書 張子溫) 을 보내 편지와 도장과 법복과 바루를 내리시고는 `왕사 대조계종사 선교도총섭 근수본지 중흥조풍 복국우세 보제존자'로 봉 (封) 하시고, 동방 제일 도량인 송광사 (松廣寺) 에 계시라고 명하셨다.
임자년 (1372) 가을에 스님은 우연히 지공스님이 예언하신 삼산양수 (三山兩水) 를 생각하고 회암사로 옮기려 하였는데, 마침 임금의 부름을 받고 회암사 법회에 나아갔다가 임금께 청하여 거기 있게 되었다. 스님은 "돌아가신 스승 지공스님이 일찍이 이 절을 중수하셨는데, 전란에 탔으니 어찌 그 뜻을 이어받지 않으랴" 하고는 대중과 의논하여 전각과 집들을 더 넓혔다. 공사를 마치고 병진년 (1376) 4월에 낙성식을 크게 열었다.
대평 (臺評) 의 생각에 회암사는 서울과 가깝기 때문에 사람들의 왕래가 밤낮으로 끊이지 않으므로 혹 생업에 폐가 될까 염려되어 왕래를 금하였다.
그리하여 영원사 (瑩源寺:경남 밀양에 있음) 로 옮기라는 임금의 명령이 있었고, 빨리 출발하라는 재촉이 있었다. 스님은 마침 병중에 있었으므로 가마를 타고 절 입구의 남쪽에 있는 못가로 나갔다가 스스로 가마꾼을 시켜 열반문으로 나왔다. 대중이 모두 의아하게 여겨 소리내어 우니 스님은 대중을 돌아보고 말씀하셨다.
"부디 힘쓰고 힘쓰시오. 나 때문에 공부를 중도에 그만두지 마시오. 내 걸음은 여흥 (瘻興) 에 가서 멈출 것이오."
한강에 이르러 호송관 탁첨 (¿) 에게 말씀하셨다.
"내 병이 심하오. 배를 빌려 타고 갑시다."
그리하여 물길을 따라간 지 7일 만에 여흥에 이르렀다. 거기서 또 탁첨에게 말씀하셨다.
"조금 쉬었다가 병세가 좀 나아지면 가고 싶소."
탁첨은 기꺼이 그 말을 따라 신륵사 (神勒寺) 에 머물렀다. 5월 15일에 탁첨은 또 빨리 가자고 독촉하였다.
스승은 입을 열었다.
"그것은 어렵지 않소. 나는 아주 갈 것이오."
그리고는 그날 진시 (辰時) 에 고요히 돌아가셨다.
그 고을 사람들은 오색 구름이 산꼭대기를 덮는 것을 보았고, 화장하고 뼈를 씻을 때에는 구름도 없이 사방 수백 보에 비가 내렸다. 사리 150개가 나오니 거기에 기도하고 558개로 나누었다. 사부대중이 재 속에서 그것을 찾아 감추어 둔 것만도 부지기수였다. 신령한 광채가 나다가 3일 만에야 그쳤다.
석달여 (繹達如) 는 꿈에 화장하는 자리 밑에 용이 서려 있는 것을 보았는데, 그 모습은 말과 같았다. 초상 배가 회암사로 돌아올 때에는 비도 오지 않았는데, 물이 넘쳐흘렀다. 사람들은 그것이 여룡 (瘻龍) 의 도움이라 하였다.
8월 15일에 회암사 북쪽 언덕에 부도를 세우고 정골사리 (頂骨舍利) 는 신륵사에 두었다. 화장을 하고 석종 (石鍾) 으로 덮은 것은 감히 잘못되는 일이 있을까 하여 경계한 것이다.
이 일이 조정에 알려지자 조정에서는 선각 (禪覺) 이라 시호를 내리고, 신 색 (穡) 에게는 글을 지으라 명하고, 신 중화 (仲和) 에게는 단전액 (丹額) 을 쓰게 하였다.
신이 삼가 생각을 더듬어보니, 스님의 휘 (諱) 는 혜근 (惠勤) 이요, 호는 나옹 (懶翁) 이며, 본래 이름은 원혜 (元惠) 이다. 향년 (享年) 57세, 법랍 (法瀘) 은 38세이며, 영해부 (寧海府) 사람으로 속성은 아 (牙) ) 씨다. 아버지의 휘는 서구 (瑞具) 로서 선관령 (膳官令) 을 지냈고, 어머니 정 (鄭) 씨는 영산군 (靈山郡) 사람이다.
정씨는 꿈에 황금빛 새매가 날아와 머리를 쪼으며 갑자기 오색빛이 찬란한 알을 떨어뜨려 품안에 들어오는 것을 보고 아기를 가져 연우 (延祐) 경신년 (1320) 1월 15일에 스님을 낳았다. 스님은 스무 살에 이웃 동무가 죽는 것을 보고 여러 어른들에게 죽으면 어디로 가느냐고 물었는데 모두들 모른다 하였다. 매우 슬픈 심정으로 공덕산 (功德山) 에 들어가 요연 (了然) 스님께 귀의하여 머리를 깎았다. 요연스님은 물었다.
"그대는 무엇하러 출가했는가?"
"삼계를 벗어나 중생을 이롭게 하기 위해서입니다. 부디 가르쳐 주십시오."
"지금 여기 온 그대는 어떤 물건인가?"
"말할 줄 알고 들을 줄 아는 이것이 이렇게 왔으나 다만 수행하는 법을 모릅니다."
"나도 그대와 같아서 아직 모른다. 다른 스승을 찾아가서 물어 보라."
지정 (至正) 갑신년 (1344) 에 회암사로 가서 밤낮으로 혼자 앉았다가 갑자기 깨치고는, 중국으로 가서 스승을 찾으리라 결심하였다.
무자년 (1348) 3월에 연도 (燕都) 에 들어가 지공스님을 뵙고 문답하여 계합한 바 있었다. 10년 (1350) 경인 1월에 지공스님은 대중을 모으고 법어를 내렸으나 대답하는 사람이 없었는데, 스님이 대중 속에서 나와 몇 마디하고 세 번 절하고는 밖으로 나갔다. 지공스님은 서천 (西天) 의 108대 조사다.
그 해 봄에 남쪽 강제 (江) 지방을 돌아다니다가 가을 8월에는 평산 (平山) 스님을 찾아뵈었다. 평산스님은 물었다.
"일찍이 어떤 사람을 보았는가?"
"서천의 지공스님을 보았는데, 그 분은 날마다 천검 (千劍) 을 썼습니다."
"지공의 천검은 그만두고 그대의 일검 (一劍) 을 가져 오라."
스님은 좌복으로 평산스님을 밀쳤다. 평산스님은 선상에 쓰러지면서 "이 도둑놈이 나를 죽인다!" 하고 크게 외쳤다.
스님은 "내 검 (劍) 은 사람을 죽이기도 하지만 사람을 살리기도 합니다" 하고 붙들어 일으켰다. 평산스님은 설암 (雪艤) 스님이 전한 급암 (及艤) 스님의 가사와 불자를 전해 신표를 삼았다.
신묘년 (1351) 봄에 보타락가산 (¿陀洛迦山) 으로 가서 관음보살께 예배하고 임진년 (1352) 에 복룡산 (伏龍山) 으로 가서 천암 (千巖) 스님을 뵈었다. 천암스님은 마침 스님네들을 천여 명 모아놓고 입실 (入室) 할 사람을 뽑고 있었다. 천암스님이 물었다.
"어디서 오는가?"
스님이 대답하자 천암스님이 다시 물었다.
"부모가 낳아주기 전에는 어디서 왔는가?"
"오늘은 4월 2일입니다."
그러자 천암스님은 입실을 허락하였다.
그 해에 북방으로 돌아와 다시 지공스님을 뵈오니 지공스님은 법의와 불자와 범서 (梵書) 를 주었다. 그리하여 스님은 연대 (燕代) 의 산천을 돌아다니는 말쑥하고 한가한 도인이 되었다.
스님의 명성이 궁중에 들어가 을미년 (1355) 가을에 황제의 명을 받들어 대도 (大都) 의 광제사 (廣濟寺) 에 머물렀고, 병신년 (1356) 10월 15일에는 개당법회를 열었다. 황제는 원사 야선첩목아 (院使 也先帖木兒) 를 보내 금란가사와 비단을 내리시고, 황태자는 금란가사와 상아불자 (象牙拂子) 를 가지고 참석하였다. 스님은 가사를 받아 들고 대중에게 물었다.
"맑고 텅 비고 고요하여 본래 한 물건도 없는데, 찬란한 이것은 어디서 나왔는가?"
대중이 대답이 없자 스님은 천천히 말씀하셨다.
"구중 궁궐의 금구 (金口) 에서 나왔다."
그리고는 가사를 입고 향을 사뤄 황제를 위해 축원하고 나서 법좌에 올라 주장자를 가로 잡고 두어 마디 한 뒤에 자리에서 내려오셨다.
무술년 (1358) 봄에 지공스님에게 수기 (授記) 를 얻고 귀국해서는 다니거나 머무르거나 인연 따라 설법하다가, 경자년 (1360) 에는 오대산에 들어가 살으셨다.
신축년 (1361) 겨울에 임금님은 내첨사 방절 (內事 方節) 을 보내 서울에 맞아들여 마음의 요체에 대한 법문을 청하고 만수가사 (滿繡袈裟) 와 수정불자 (水精拂子) 를 내리셨다. 공주 (公主) 는 마노불자를 올리고, 태후는 친히 보시를 베풀고 신광사 (神光寺) 에 계시기를 청하였으나 사양하자 임금이 "나도 불법에서 물러가겠다" 하시므로 부득이 부임하셨다.
11월에 홍건적 (紅巾己) 이 서울 근방 〔京幾〕 을 짓밟았으므로 도성 사람들이 모두 남쪽으로 옮겼다. 스님네들이 두려워하여 스님에게 피란하기를 청하자 스님은, "명 (命) 이 있으면 살겠거늘 도적인들 어찌하겠는가" 하셨다. 그러나 며칠을 두고 더욱 졸라대었다. 그날 밤 꿈에, 얼굴에 검은 글이 쓰여진 신인 (神人) 하나가 의관을 갖추고 절하며, "대중이 흩어지면 도적은 반드시 이 절을 없앨 것이니, 스님은 뜻을 굳게 가지십시오" 하였다. 이튿날 토지신 (土地神) 을 모신 곳에 가서 그 용모를 보았더니 꿈에 본 그 얼굴이었다. 도적은 과연 오지 않았다.
계묘년 (1363) 에 구월산 (九月山) 에 들어갔더니 임금은 내시 김중손 (金仲孫) 을 보내 돌아오기를 청하였다.
을사년 (1365) 3월에 대궐에 들어가 물러가기를 청하여 비로소 숙원 (宿願) 을 이룬 뒤에는, 용문 (龍門) ․원적 (元寂) 등 여러 산에서 노닐다가 병오년 (1366) 에는 금강산에 들어갔고, 정미년 (1367) 가을에는 청평사 (淸平寺) 에 머물렀다.
그 해 겨울에는 예보암 (猊¿岩) 이 지공스님의 가사와 친필을 스님에게 주면서 치명 (治命:죽을 무렵에 맑은 정신으로 하는 유언) 이라 하였다.
기유년 (1369) 에 다시 오대산에 들어갔다. 경술년 (1370) 봄에는 사도 달예 (司徒 達睿) 가 지공스님의 영골 (靈骨) 을 받들고 와서 회암사에 두니 스님은 그 영골에 예배하였다. 그리고 곧 임금의 부름을 받고 나아가 광명사 (廣明寺) 에서 여름을 지내고 가을에 회암사로 돌아왔으니, 그것은 9월에 공부선 (工夫選) 이 있었기 때문이다.
스님이 거처하는 방을 강월헌 (江月軒) 이라 하였다. 평생에 세속의 문자를 익히지는 않았으나, 제영 (題詠) 을 청하는 이가 있으면 붓을 들어 그 자리에서 써주었는데 혹 경전의 뜻이 아니더라도 이치가 심원하였다.
만년에는 장난삼아 산수화 그리기를 좋아하여 권도 (權道) 의 시달림을 받았으니, 아아, 도를 통하면 으레 재능도 많아지는가 보다.
신 색 (穡) 은 삼가 절하고 머리를 조아려 비명을 짓는다.
진실로 선을 깨친 〔禪覺〕 이시며
기린의 뿔이로다
임금의 스승이요
인천의 눈이로다
뭇 승려들 우러러보기를
물이 골짜기로 달리는 듯하나
선 바가 우뚝하여
아는 이가 드물다
신령한 새매 꿈이
처음 태어날 때 있었고
용신 (龍神) 이 초상을 호위함하여
마지막 죽음을 빛냈도다
하물며 사리라는 것이
스님의 신령함을 나타냈나니
강은 넓게 트였는데
달은 밝고 밟았도다
공 (空) 인가 색 (色) 인가
위아래가 훤히 트였나니
아득하여라, 높은 모습이여
깊이 멸하지 않으리라.
展也禪覺 惟麟之角
王者之師 人天眼目
萬衲宗之 如水赴壑
而鮮克知 所立之卓
隼夢赫靈 在厥初生
龍神護喪 終然允藏
矧曰舍利 表其靈異
江之闊矣 皎皎明月
空耶色耶 上下洞徹
哉高風終 終古不滅
7년 6월 어느 날 비를 세우다
비는 경기도 양주군 회천면 회암리 회암사 (京畿道 楊州郡 檜泉面 檜岩里 檜岩寺) 에 있다. 고려의 폐왕 (廢王) 인 우왕 (王) 정사년 (1377) 에 세우다. 비의 높이는 5척, 너비는 3척 2촌, 글자의 지름은 7푼, 예서제액자 (隷書題額字) 의 지름은 3촌 3푼. 전서 (書) 로 음기 (陰記) 한 것이 닳아 없어져 읽을 수 없다.
행장 (行狀)
문인 각굉 (門人覺宏) 지음
스님의 휘는 혜근 (慧勤) 이요 호는 나옹 (懶翁) 이며, 본 이름은 원혜 (元慧) 이다. 거처하는 방은 강월헌 (江月軒) 이라 하며, 속성은 아 (牙) 씨인데 영해부 (寧海府) 사람이다. 아버지의 휘는 서구 (瑞具) 인데 선관서령 (膳官署令) 이란 벼슬을 지냈고, 어머니는 정 (鄭) 씨다.
정씨가 꿈에 금빛 새매가 날아와 그 머리를 쪼다가 떨어뜨린 알이 품안에 드는 것을 보고 아기를 가져 연우 (延祐) 경신년 (1320) 1월 15일에 스님을 낳았다. 스님은 날 때부터 골상이 보통 아이와 달랐고, 자라서는 근기가 매우 뛰어나 출가하기를 청하였으나 부모가 허락하지 않았다.
20세에 이웃 동무가 죽는 것을 보고 여러 어른들에게 죽으면 어디로 가느냐고 물었으나 모두들 모른다 하였다.
매우 슬픈 심정으로 공덕산 묘적암 (妙寂艤) 의 요연 (了然) 스님에게 가서 머리를 깎았다. 요연스님이 물었다.
"그대는 무엇하러 머리를 깎았는가?"
"삼계를 벗어나 중생을 이롭게 하기 위해서입니다. 가르쳐 주십시오."
"지금 여기 온 그대는 어떤 물건인가?"
"말하고 듣고 하는 것이 여기 왔을 뿐이거니와 볼 수 없는 몸을 보고 찾을 수 없는 물건을 찾고 싶습니다. 어떻게 닦아 나가야 하겠습니까?"
"나도 너와 같아서 아직 모른다. 다른 스승을 찾아가서 물어 보라."
그리하여 스님은 요연스님을 하직하고 여러 절로 돌아다니다가 지정 (至正) 4년 (1344) 갑신년에 회암사로 가서 한 방에 고요히 있으면서 밤낮으로 언제나 앉아 있었다.
그때 일본의 석옹 (石翁) 화상이 그 절에 머무르고 있었는데, 어느 날 승당 (僧堂) 에 내려와 선상 (禪滅) 을 치며 말하였다.
"대중은 이 소리를 듣는가."
대중은 말이 없었다. 스님은 게송을 지어 보였다.
선불장 (選佛場) 에 앉아서
정신 차리고 자세히 보라
보고 듣는 것 다른 물건 아니요
원래 그것은 옛 주인이다.
選佛場中坐 惺惺着眼看
見聞非他物 元是舊主人
그 뒤 4년 동안을 부지런히 닦다가 하루 아침에 갑자기 깨친 뒤에 중국으로 가서 스승을 찾아 도를 구하려 하였다.
정해년 (1347) 11월에 북을 향해 떠나 무자년 (1348) 3월 13일에 대도 (大都) 법원사 (法源寺) 에 이르러, 처음으로 서천의 지공스님을 뵈었다. 지공스님이 물었다.
"그대는 어디서 왔는가?"
"고려에서 왔습니다."
"배로 왔는가, 육지로 왔는가, 신통 (神通) 으로 왔는가?"
"신통으로 왔습니다."
"신통을 나타내 보여라."
스님은 그 앞으로 가까이 가서 합장하고 섰다. 지공스님은 또 물었다.
"그대가 고려에서 왔다면 동해 저쪽을 다 보고 왔는가?"
"보지 않았다면 어떻게 여기 왔겠습니까?"
"집 열 두 채를 가지고 왔는가?"
"가지고 왔습니다."
"누가 그대를 여기 오라 하던가?"
"제 스스로 왔습니다."
"무엇하러 왔는가?"
"뒷사람들을 위해 왔습니다."
지공스님은 허락하고 대중과 함께 있게 하였다.
어느 날 스님은 다음 게송을 지어 올렸다.
산과 물과 대지는 눈앞의 꽃이요
삼라만상도 또한 그러하도다
자성 (自性) 이 원래 청정한 줄 비로소 알았나니
티끌마다 세계마다 다 법왕의 몸이라네.
山河大地眼前花 萬像森羅赤復然
自性方知元淸淨 塵塵刹刹法王身
지공스님이 말하였다.
"서천의 20명과 동토의 72명은 다 같은 사람인데 지공은 그 가운데 없다. 앞에는 사람이 없고 뒤에는 장군이 없다. 지공이 세상에 나왔는데 법왕이 또 어디 있는가."
스님이 대답하였다.
법왕의 몸, 법왕의 몸이여
삼천 (三天) 의 주인이 되어 중생을 이롭게 한다
천검 (千劍) 을 뽑아들고 불조를 베는데
백양 (白陽) *이 모든 하늘을 두루 비춘다.
法王身法王身 三天爲主利群民
千劍單提斬佛祖 白陽普遍照諸天
나는 지금 이 소식을 알았지만
그래도 우리집의 정력만 허비했네
신기하구나, 정말 신기하구나
부상 (扶桑) 의 해와 달이 서천 (西天) 을 비춘다.
吾今識得這消息 猶是幢家弄精魂
也大奇也大奇 扶桑日月照西天
지공스님이 응수했다.
"아버지도 개요 어머니도 개며 너도 바로 개다."
스님은 곧 절하고 물러갔다.
그 달에 매화 한 송이가 피었다. 지공스님은 그것을 보고 게송을 지었다.
잎은 푸르고 꽃은 피었네 한 나무에 한 송이
사방 팔방에 짝할 것 하나도 없네
앞일은 물을 것 없고 뒷일은 영원하리니
향기가 이르는 곳에 우리 임금 기뻐하네.
葉靑花發一樹一 十方八面無對一
前事不問後事長 香氣到地吾帝喜
스님은 여기에 다음과 같이 답하였다.
해마다 이 꽃나무가 눈 속에 필 때
벌 나비는 분주해도 새 봄인 줄 몰랐더니
오늘 아침에 꽃 한 송이 가지에 가득 피어
온 천지에 다 같은 봄이로다.
年年此樹雪裏開 蜂蝶忙忙不知新
今朝一箇花滿卿 普天普地一般春
하루는 지공스님이 법어를 내렸다.
선 (禪) 은 집 안이 없고 법은 밖이 없나니
뜰 앞의 잣나무를 아는 사람은 좋아한다
청량대 (淸凉臺) 위의 청량한 날에
동자가 세는 모래를 동자가 안다.
禪無堂內法無外 庭前栢樹認人肯
淸凉臺上淸凉日 童子數沙童子知
스님은 답하였다.
들어가도 집 안이 없고 나와도 밖이 없어
세계마다 티끌마다 선불장 (選佛場) 이네
뜰 앞의 잣나무가 새삼 분명하나니
오늘은 초여름 사월 초닷새라네.
入無堂內出無外 刹刹塵塵選佛場
庭前栢樹更分明 今日夏初四月五
하루는 지공스님이 스님을 불러 물었다.
"이 승당 안에 달마가 있는가 없는가?"
"없습니다."
"저 밖에 있는 재당 (齋堂) 을 그대는 보는가?"
"보지 못합니다."
그리고는 승당으로 돌아가버렸다.
지공스님은 시자를 보내 물었다.
"선재동자가 53선지식을 두루 찾아뵙고 마지막으로 미륵을 뵈었을 때, 미륵이 손가락을 한 번 퉁기매 문이 열리자 선재는 곧 들어갔다. 그런데 그대는 어찌하여 안팎이 없다 하는가?"
스님은 시자를 통해 대답하였다.
"그때 선재는 그 속에 이르지 못했습니다."
시자가 그대로 전하니 지공스님이 말하였다.
"이 중은 고려의 노비다."
하루는 지공스님이 말하였다.
"그대는 보경사 (普慶寺) 를 보는가?"
"벌써부터 보았습니다."
"문수와 보현이 거기 있던가?"
"잘 있습니다."
"무슨 말을 하던가?"
"그런 말을 합디다.
"차를 마시고 가거라."
그 뒤 어느 날 스님은 게송을 지어 지공스님에게 올렸다.
미혹하면 산이나 강이 경계가 되고
깨치면 티끌마다 그대로가 온몸이네
미혹과 깨침을 모두 다 쳐부수었나니
닭은 아침마다 오경 (五更) 에 홰치네.
迷則山河爲所境 悟來塵塵是全身
迷悟兩頭俱打了 朝朝鷄向五更啼
지공스님은 대답하였다.
"나도 아침마다 징소리를 듣노라."
지공스님은 스님의 근기를 알아보고 10년 동안 판수 (板首) 로 있게 하였다.
경인년 (1350) 1월 1일, 지공스님은 황후가 내리신 붉은 가사를 입고 방장실 안에서 대중을 모으고 말하였다.
"분명하다 법왕이여, 높고 높아 이 나라를 복되게 한다. 하늘에는 해가 있고 밑에는 조사가 있으니 노소를 불문하고 지혜 있는 사람이면 다 마주해 보라."
대중이 대답이 없자 스님은 대중 속에서 나아가 말하였다.
"분명하다는 것도 오히려 저쪽 일인데, 높고 높아 나라를 복되게 한다는 것은 그야말로 빈 소리다. 하늘의 해와 땅의 조사를 모두 다 쳐부수고 난 그 경계는 무엇인가."
지공스님은 옷자락을 들어 보이면서 말하였다.
"안팎이 다 붉다."
스님은 세 번 절하고 물러갔다.
그 해 3월에 대도를 떠나 통주 (通州) 에서 배를 타고, 4월 8일에 평강부 (平江府) 에 이르러 휴휴암 (休休艤) 에서 여름 안거를 지냈다. 7월 19일에 떠나려 할 때, 그 암자의 장로가 만류하자 스님은 그에게 게송을 지어 주었다.
쇠지팡이를 날려가며 휴휴암에 이르러
쉴 곳을 얻었거니 그대로 쉬어버렸네
이제 이 휴휴암을 버리고 떠나거니와
사해 (四海) 와 오호 (五湖) 에서 마음대로 놀리라.
鐵錫橫賑到休休 得休休處便休休
如今捨却休休去 四海五湖任意游
8월에 정자선사 (淨慈禪寺) 에 이르렀는데, 그 곳의 몽당 (蒙堂) 노스님이 스님에게 물었다.
"그대 나라에도 선법 (禪法) 이 있는가?"
스님은 게송으로 대답하였다.
부상국 (扶桑國) 에 해가 오르매
강남의 바다와 산이 붉었다
같고 다름을 묻지 말지니
신령한 빛은 고금에 통하네.
日出扶桑國 江南海嶽紅
莫問同與別 靈光亘古通
그 노스님은 말이 없었다. 스님이 곧 평산처림 (平山處林) 스님을 뵈러 갔다. 그때 평산스님은 마침 승당에 있었다. 스님이 곧장 승당에 들어가 이리저리 걷고 있으니 평산스님이 물었다.
"스님은 어디서 오시오?"
"대도에서 옵니다."
"어떤 사람을 보고 왔는가?"
"서천의 지공스님을 보고 왔습니다."
"지공은 날마다 무슨 일을 하던가?"
"지공스님은 날마다 천검 (千劍) 을 씁니다."
"지공의 천검은 그만두고 그대의 일검 (一劍) 을 가져 오라."
스님이 대뜸 좌복으로 평산스님을 후려치니 평산스님은 선상에 거꾸러지면서 크게 외쳤다.
"이 도적놈이 나를 죽인다!"
스님은 곧 붙들어 일으켜 주면서 말하였다.
"내 칼은 사람을 죽이기도 하지만 살리기도 합니다."
평산스님은 `하하' 크게 웃고는 곧 스님의 손을 잡고 방장실로 돌아가 차를 권했다. 그리하여 몇 달을 묵게 되었다.
어느 날 평산스님이 손수 글을 적어 주었다.
"삼한 (三韓) 의 혜근 수좌가 이 노승을 찾아왔는데, 그가 하는 말이나 토하는 기운을 보면 불조 (佛祖) 와 걸맞다. 종안 (宗眼) 은 분명하고 견처 (見處) 는 아주 높으며 말 속에는 메아리가 있고 글귀마다 칼날을 감추었다. 여기 설암스님이 전한 급암 스승님 〔先師〕 의 법의 한 벌과 불자 하나를 주어 믿음을 표한다."
뒤이어서 게송을 지어 주었다.
법의와 불자를 지금 맡기노니
돌 가운데서 집어낸 티없는 옥일러라
계율의 근 (根) 이 깨끗해 보리 (菩提) 얻었고
선정과 지혜의 광명을 모두 갖추었네.
拂子法衣今付囑 石中取出無瑕玉
戒根永淨得菩提 禪定慧光皆具足
11년 (1351) 신묘 2월 2일, 평산스님을 하직할 때 평산스님은 다시 글을 적어 전송하였다.
"삼한의 혜근 수좌가 멀리 호상 (湖上) 에 와서 서로 의지하고 있다가, 다시 두루 참학하려고 용맹정진할 법어를 청한다. 토각장 (兎角杖) 을 들고 천암 (千巖) 의 대원경 (大圓鏡) 속에서 모든 조사의 방편을 한 번 치면, 분부할 것이 없는 곳에서 반드시 분부할 것이 있을 것이다."
그리고는 다시 게송을 지어 주었다.
회암 (檜岩) 의 판수 (板首) 가 운문 (雲門) 을 꾸짖고
백만의 인천 (人天) 을 한 입에 삼켰네
다시 밝은 스승을 찾아 참구한 뒤에
집에 돌아가 하는 설법은 성낸 우뢰가 달리듯 하리.
檜巖板首罵雲門 百萬人天一口呑
更向明師參透了 廻家說法怒雷奔
스님은 절하고 하직한 뒤에 명주 (明州) 의 보타락가산 (補陀洛迦山) 으로 가서 관음을 친히 뵈옵고, 육왕사 (育王寺) 로 돌아와서는 석가상 (繹迦像) 에 예배하였다. 그 절의 장로 오광 (悟光) 스님은 다음 게송을 지어 스님을 칭찬하였다.
분명히 눈썹 사이에 칼을 들고
때를 따라 죽이고 살리고 모두 자유로워
마치 소양 (昭陽) 에서 신령스런 나무 보고
즐겨 큰 법을 상류 (常流) 에 붙이는 것 같구나.
當陽掛起眉間劍 殺活臨機總自由
恰昭昭陽見靈樹 肯將大法付常流
스님은 또 설창 (雪窓) 스님을 찾아보고 명주에 가서 무상 (無相) 스님을 찾아보았다.*
또 고목 영 (奇木榮) 스님을 찾아가서는 한참 동안 말없이 앉았는데 고목스님이 물었다.
"수좌는 좌선할 때 어떻게 마음을 쓰는가?"
"쓸 마음이 없소."
"쓸 마음이 없다면 평소에 무엇이 그대를 데리고 왔다갔다하는가?"
스님이 눈을 치켜뜨고 바라보니 고목스님이 말하였다.
"그것은 부모가 낳아준 그 눈이다. 부모가 낳아주기 전에는 무엇으로 보는가?"
스님은 악! 하고 할 (喝) 을 한 번 하고는 "어떤 것을 낳아준 뒤다 낳아주기 전이다 하는가?" 하니 고목스님은 곧 스님의 손을 잡고, "고려가 바다 건너 있다고 누가 말했던가" 하였다. 스님은 소매를 떨치고 나와버렸다.
임진년 (1352) 4월 2일에 무주 (州) 복룡산 (伏龍山) 에 이르러 천암 원장 (千巖元長) 스님을 찾았다. 마침 그 날은 천여 명의 스님네를 모아 입실할 사람을 시험해 뽑는 날이었다. 스님은 다음의 게송을 지어 올렸다.
울리고 울려 우뢰소리 떨치니
뭇 귀머거리 모두 귀가 열리네
어찌 영산 (靈山) 의 법회뿐이었겠는가
구담 (曇) 은 가지도 오지도 않네.
擊擊雷首振 群聾盡豁開
豈限靈山會 瞿曇無去來
그리고 절차에 따라 입실하였다.
천암스님은 물었다.
"스님은 어디서 오는가?"
"정자선사에서 옵니다."
"부모가 낳아주기 전에는 어디서 왔는가?"
"오늘은 4월 2일입니다."
천암스님은 "눈 밝은 사람은 속이기 어렵구나" 하고 곧 입실을 허락하였다. 스님은 거기 머물게 되어 여름을 지내고 안거가 끝나자 하직을 고했다. 천암스님은 손수 글을 적어 주며 전송하였다.
"석가 늙은이가 일대장교를 말했지만 그것은 모두 쓸데없는 말이다. 마지막에 가섭이 미소했을 때 백만 인천이 모두 어쩔 줄을 몰랐고, 달마가 벽을 향해 앉았을 때 이조는 눈 속에 서 있었다. 육조는 방아를 찧었고, 남악 (南嶽) 은 기왓장을 갈았으며, 마조 (馬祖) 의 할 (喝) 한 번에 백장 (百丈) 은 귀가 먹었고, 그 말을 듣고 황벽 (黃岫) 은 혀를 내둘렀었다. 그러나 일찍이 장로 수좌를 만들지는 못하였다.
진실로 이것은 이름을 붙일 수도 없고 형상으로 그릴 수도 없으며, 칭찬할 수도 없고 비방할 수도 없는 것이다. 다만 저 허공처럼 텅 비어 부처나 조사도 볼 수 없고 범부나 성인도 볼 수 없으며, 남과 죽음도 볼 수 없고 너나 나도 볼 수 없다. 그 지경 〔¿際:테두리, 범위〕 에 이르게 되어도 그 지경이라는 테두리도 없고, 또 허공의 모양도 없으며 갖가지 이름도 없다. 그러므로 형상도 이름도 떠났기에 사람이 받을 수 없나니, 취모검 (吹毛劍) 을 다 썼으면 빨리 갈아두라고 한 것이다. 그러나 취모검은 쓰고 싶으면 곧 쓸 수 있는데 다시 갈아두어서 무엇하겠는가. 만일 그대가 그것을 쓸 수 있으면 노승의 목숨이 그대 손에 있을 것이요, 그대가 그것을 쓸 수 없으면 그대 목숨이 내 손안에 있을 것이다."
그리고는 할을 한 번 하였다.
스님은 천암스님을 하직하고 떠나 송강 (松江) 에 이르러 요당 (了堂) 스님과 박암 (泊艤) 스님을 찾아보았으나 그들은 감히 스님을 붙잡아 두지 못하였다.
그 해 5월에 대도 법원사로 돌아와 다시 지공스님을 뵈었다. 지공스님은 스님을 방장실로 맞아들여 차를 권하고, 드디어 법의 한 벌과 불자 하나와 범어로 쓴 편지 한 통을 주었다.
백양 (百陽) 에서 차 마시고 정안 (正安) *에서 과자 먹으니
해마다 어둡지 않은 한결같은 약이네
동서를 바라보면 남북도 그렇거니
종지 밝힌 법왕에게 천검 (千劍) 을 준다.
百陽喫茶正安果 年年不昧一通藥
東西看見南北然 明宗法王給千劍
스님은 답하였다.
스승님 차를 받들어 마시고
일어나 세 번 절하니
다만 이 참다운 소식은
예나 이제나 변함이 없다.
奉喫師茶了 起來卽禮三
只這眞消息 從古至于今
그리고는 거기서 한 달을 머물다가 하직하고, 여러 해 동안 연대 (燕代) 의 산천을 두루 돌아다녔다.
그 도행 (道行) 이 황제에게 들려, 을미년 (1355) 가을에 성지 (聖旨) 를 받고 대도의 광제선사 (廣濟禪寺) 에 머물다가, 병신년 (1356) 10월 15일에 개당법회를 열었다. 황제는 먼저 원사 야선첩목아 院使 也先帖木兒) 를 보내 금란가사와 폐백을 내리시고 황태자도 금란가사와 상아불자를 내렸다. 이 날에는 많은 장상 (將相) 과 그들의 관리, 선비들, 여러 산의 장로들과 강호의 승려들이 모두 모였다. 스님은 가사를 받아들고 중사 (中使) *에게 물었다.
"산하대지와 초목총림이 하나의 법왕신인데 이 가사를 어디다 입혀야 하겠는가?"
중사는 모르겠다 하였다. 스님은 자기 왼쪽 어깨를 기리키며 "여기다 입혀야 하오" 하고는 다시 대중에 물었다.
"맑게 비고 고요하여 본래 한 물건도 없는데 찬란한 이것은 어디서 나왔는가?"
대중은 대답이 없었다. 스님은 "구중 궁궐의 금구 (金口) 에서 나왔다" 하고는 가사를 입고 황제를 위해 축원한 뒤에 다시 향을 사르고 말하였다.
"이 하나의 향은 서천의 108대 조사 지공대화상과 평산화상에게 받들어 올려 법유 (法乳) 의 은혜를 갚습니다."
17년 (1357) 정유년에 광제사를 떠나 연계 (燕) 의 명산에 두루 다니다가 다시 법원사로 돌아와 지공스님에게 물었다.
"이제 제자는 어디로 가야 하리까?"
지공스님이 말하였다.
"그대는 본국으로 돌아가 `삼산양수 (三山兩水) ' 사이를 택해 살면 불법이 저절로 흥할 것이다."
무술년 (1358) 3월 23일에 지공스님을 하직하고 요양 (遼陽) 으로 돌아와 평양과 동해 등 여러 곳에서 인연을 따라 설법하고, 경자년 (1360) 가을에 오대산에 들어가 상두암 (象頭艤) 에 있었다. 그때 강남지방의 고담 (古潭) 스님이 용문산을 오가면서 서신을 통했는데, 스님은 게송으로 그에게 답하였다.
임제의 한 종지가 땅에 떨어지려 할 때에
공중에서 고담 노인네가 불쑥 튀어나왔나니
삼척의 취모검을 높이 쳐들고
정령 (精靈) 들 모두 베어 자취 없앴네.
臨濟一宗當落地 空中突出古潭翁
把將三尺吹毛劍 斬盡精靈永沒蹤
고담스님은 백지 한 장으로 답하였는데, 겉봉에는 `군자천리동풍 (君子千里同風) '이라고 여섯 자를 썼다. 스님은 받아 보고 웃으면서 던져버렸다. 시자가 주워 뜯어 보았더니 그것은 빈 종이었다. 스님은 붓과 먹 두 가지로 답하였다.
신축년 (1361) 겨울에 임금은 내첨사 방절 (方節) 을 보내 내승마 (內乘馬) 로 스님을 성안으로 맞아들여, 10월 15일에 궁중으로 들어갔다. 예를 마치고 마음의 요체에 대해 법문을 청하니, 스님은 두루 설법한 뒤에 게송 두 구를 지어 올렸다.* 임금은 감탄하면서, "이름을 듣는 것이 직접 보는 것만은 못하다" 하시고 만수가사와 수정불자를 내리셨다. 공주도 마노불자를 보시하고, 태후는 친히 보시를 내리셨다. 그리고 신광사 (神光寺) 에 머물기를 청하니 스님은 "산승은 다만 산에 돌아가 온 마음으로 임금을 위해 축원하고자 하오니 성군의 자비를 바라나이다" 하면서 사양하였다.
임금은 "그렇다면 나도 불법에서 물러가리라" 하시고 곧 가까운 신하 김중원 (金仲元) 을 보내 가는 길을 돕게 하였다. 스님은 할 수 없어 그 달 20일에 신광사로 갔다.*
11월에 홍건적이 갑자기 쳐들어와 도성이 모두 피란하였으나, 오직 스님만은 제자들을 거느리고 보통때와 같이 설법하고 있었다. 하루는 수십 기 (騎) 의 도적들이 절에 들어왔는데, 스님은 엄연히 그들을 상대하였다. 도적의 우두머리는 침향 (沈香) 한 조각을 올리고 물러갔다. 그 뒤로도 대중은 두려워하여 스님에게 피란하기를 권하였다. 그러나 스님은 말리면서, "명 (命) 이 있으면 살 것인데 도적이 너희들 일에 무슨 관계가 있겠는가" 하였다.
그 뒤에 어느 날 대중이 다시 피란을 청하였으므로 스님은 부득이 허락하고 그 이튿날로 기약하였었다. 그런데 그날 밤 꿈에 어떤 신인 (神人) 이 의관을 갖추고 절하며, "대중이 흩어지면 도적은 반드시 이 절을 없앨 것입니다. 스님은 부디 뜻을 굳게 가지십시오" 하고 곧 물러갔다. 그 이튿날 스님은 토지신을 모신 곳에 가서 그 모습을 보았더니 바로 꿈에 본 얼굴이었다. 스님은 대중을 시켜 경을 읽어 제사하고는 끝내 떠나지 않았다. 도적은 여러 번 왔다갔으나 재물이나 양식, 또는 사람들을 노략질하지 않았다.
계묘년 (1363) 7월에 재삼 글을 올려 주지직을 사퇴하려 했으나, 임금이 허락하지 않으므로 스님은 스스로 빠져나와 구월산 (九月山) 금강암으로 갔다. 임금은 내시 김중손 (金仲孫) 을 보내 특별히 내향 (內香) 을 내리시고, 또 서해도 (西海道) 지휘사 박희 (朴6) , 안렴사 이보만 (按兼使 李¿萬) , 해주목사 김계생 (海州牧使 金繼生) 등에게 칙명을 내려 스님이 주지직에 돌아오기를 강요하였다. 스님은 부득이 10월에 신광사로 돌아와 2년 동안 머무시다가, 을사년 (1365) 3월에 궁중에 들어가 글을 올려 물러났다. 그리고는 용문 (龍門) ․원적 (圓寂) 등 여러 산에 노닐면서 인연을 따라 마음대로 즐겼다.
병오년 (1366) 3월에는 금강산에 들어가 정양암 (正陽艤) 에 있었다. 정미년 (1367) 가을에 임금님은 교주도 (交州道) 안렴사 정양생 (鄭良生) 에게 명하여 스님에게 청평사에 머무시기를 청하였다.
그 해 겨울에 보암 (普艤) 장로가 지공스님이 맡기신 가사 한 벌과 편지 한 통을 받아 가지고 절에 와서 스님에게 주었다. 스님은 그것을 입고 향을 사른 뒤에 두루 설법하였다.*
기유년 (1369) 9월에 병으로 물러나 또 오대산에 들어가 영감암 (靈惑艤) 에 머물렀다.
홍무 (洪武) 경술년 (1370) 1월 1일 아침에 사도 달예 (司徒 達睿) 가 지공스님의 영골과 사리를 받들고 회암사에 왔다. 3월에 스님은 그 영골에 예배하고 산을 나왔다. 임금은 가까운 신하 김원부 (金元富) 를 보내 스님을 맞이하고 영골에 예배하였다. 스님은 성 안에 들어가 광명사 (廣明寺) 에서 안거를 지냈다.
8월 3일에 내재 (內齋) 에 나아가 재를 마치고 두루 설법하였다.
17일에 임금은 가까운 신하 안익상 (安益祥) 을 보내 길을 도우라 하고 스님께 회암사에 머물기를 청하였다. 9월에는 공부선 (工夫選) 을 마련하고 양종오교 (兩宗五敎) 의 제방 승려를 크게 모아 그들의 공부를 시험했는데, 그때 스님에게 주맹 (主盟) 이 되기를 청하였다.
16일에 선석 (選席) 을 열었다. 임금님은 여러 군 (君) 과 양부 (兩府) 의 문무백관을 거느리고 친히 나와 보셨다. 그리고 선사 강사 등 여러 큰 스님네와 강호의 승려들이 모두 모였다. 그때 설산국사 (雪山國師:화엄종의 종사인 千熙스님을 말함) 도 그 모임에 왔다. 스님은 국사와 인사하고 처음으로 방장실에 들어가 좌복을 들고 "화상!" 하였다. 국사가 무어라 하려는데 스님은 좌복으로 그 까까머리를 때리고는 이내 나와버렸다.
사나당 (舍那堂) 안에 법좌를 만들고 향을 사른 뒤에, 스님은 법좌에 올라 질문을 내렸다. 법회에 있던 대중은 차례로 들어가 대답하였으나 모두 모른다 하였다. 어떤 이는 이치로는 통하나 일에 걸리기도 하고 어떤 이는 너무 경솔하여 실언하기도 하며, 한마디 한 뒤 곧 물러가기도 하였다. 임금은 매우 불쾌해 보였다. 끝으로 환암 혼수 (幻庵混修) 스님이 오니 스님은 3구 (三句) 와 3관 (三關) 을 차례로 물었다.
그보다 먼저 스님이 금경사 (金脛寺) 에 있었을 때 임금은 좌가대사 혜심 (左街大師 慧深) 을 시켜 스님에게 물었다.
"어떤 법문으로 공부한 사람을 시험해 뽑습니까?"
스님이 대답하였다.
"먼저 입문 (入門) 등 3구 (三句) 를 묻고, 다음에 공부10절 (工夫十節) 을 물으며, 나중에 3관 (三關) 을 물으면 공부가 깊은지 얕은지를 시험해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대중이 다 모르기 때문에 10절과 3관은 묻지 않습니다."
법회를 마치고 임금이 천태종 (天台宗) 의 선사 (禪師) 인 신조 (神照) 를 시켜 공부10절을 물으시니 스님은 손수 써서 올렸다.*
18일에 임금은 지신사 염흥방 (知申使 廉興) 을 스님이 계시던 금경사로 보내셨고, 그 이튿날 또 대언 김진 (代言 金鎭) 을 보내 스님을 내정 (內庭) 으로 맞아들여 위로하신 뒤 안장 채운 말 〔鞍馬〕 을 내리셨다. 그리고는 내시 안익상 (安益祥) 을 보내 회암사로 보내드리니, 스님은 회암사에 도착하자 말을 돌려보내셨다.
신해년 (1371) 8월 26일에 임금은 공부상서 장자온 (工部商書 張子溫) 을 보내 편지와 도장을 주시고, 또 금란가사와 안팎 법복과 바루를 내리신 뒤에 `왕사 대조계종사 선교도총섭 근수본지 중흥조풍 복국우세 보제존자'로 봉하시고, 태후도 금란가사를 올렸다. 그리하여 동방의 제일 도량인 송광사에 있게 하셨는데, 내시 이사위 (李君渭) 를 보내 길을 돕게 하여 28일에 회암사를 출발하여 9월 27일에 송광사에 도착하였다.
임자년 (1372) 가을에 스님은 우연히 지공스님이 예언한 `삼산양수'를 생각하고 회암사로 옮기기를 청하였다. 임금은 또 이사위를 보내어 회암사로 맞아 오셨다.
9월 26일에는 지공스님의 영골과 사리를 가져다 회암사의 북쪽 봉우리에 탑을 세웠다.
계축년 (1373) 정월에는 서운 (瑞雲) ․길상 (吉祥) 등 산에 노닐면서 여러 절을 다시 일으키고, 8월에 송광사로 돌아왔다.
9월에 임금님은 또 이사위를 보내 회암사에서 소재법회 (消災法會) 를 주관하라 청하시고, 갑인년 (1374) 봄에 또 가까운 신하 윤동명 (尹東明) 을 보내 그 절에 계시기를 청하였다. 이에 스님은 "이 땅은 내가 처음으로 불도에 들어간 곳이요, 또 우리 스승 〔先師〕 의 영골을 모신 땅이오. 더구나 우리 스승께서 일찍이 내게 수기하셨으니 어찌 무심할 수 있겠는가" 하고 곧 대중을 시켜 전각을 다시 세우기로 하였다.*
9월 23일에 임금이 돌아가셨다. 스님은 몸소 빈전 (殯殿) 에 나아가 영혼에게 소참법문*을 하시고 서식을 갖추어 왕사의 인 (印) 을 조정에 돌렸다.
지금 임금께서도 즉위하여 내신 주언방 (周彦) 을 보내 내향 (內香) 을 내리시고 아울러 인보 (印¿) 를 보내시면서 왕사로 봉하였다.
병진년 (1376) 봄에 이르러 공사를 마치고 4월 15일에 크게 낙성식을 베풀었다. 임금은 구관 유지린 (具官 柳之璘) 을 보내 행향사 (行香使) 로 삼았으며, 서울에서 지방에서 사부대중이 구름과 바퀴살처럼 부지기수로 모여들었다.
마침 대평 (臺評) 은 생각하기를, `회암사는 서울과 아주 가까우므로 사부대중의 왕래가 밤낮으로 끊이지 않으니 혹 생업에 폐해를 주지나 않을까' 하였다. 그리하여 임금의 명으로 스님을 영원사 (瑩源寺) 로 옮기라 하고 출발을 재촉하였다. 스님은 마침 병이 있어 가마를 타고 절 문을 나왔는데 남쪽에 있는 못가에 이르렀다가 스스로 가마꾼을 시켜 다시 열반문으로 나왔다. 대중은 모두 의심하여 목놓아 울부짖었다. 스승은 대중을 돌아보고, "부디 힘쓰고 힘쓰시오. 나 때문에 중단하지 마시오. 내 걸음은 여흥 (瘻興) 에서 그칠 것이오" 하였다.
5월 2일에 한강에 이르러 호송관 탁첨 (卓詹) 에게 말하였다.
"나는 지금 병이 너무 심해 배를 타고 가고 싶소."
곧 문도 10여 명과 함께 물을 거슬러올라간 지 7일 만에 여흥에 이르러 다시 탁첨에게 말하였다.
"내 병이 너무 위독해 이곳을 지날 수 없소. 이 사정을 나라에 알리시오."
탁첨이 달려가 나라에 알렸으므로 스님은 신륵사 (神勒寺) 에 머물게 되었다. 며칠을 머무셨을 때, 여흥수 황희직 (瘻興守 黃希直) 과 도안감무 윤인수 (道安監務 尹仁守) 가 탁첨의 명령을 받고 출발을 재촉했다. 시자가 이 사실을 알리자 스님은 말하였다.
"그것은 어렵지 않다. 나는 이제 아주 가련다."
그때 한 스님이 물었다.
"이런 때는 어떻게 해야 합니까?"
스님은 주먹을 세웠다. 그 스님이 또 물었다.
"4대 (四大) 가 각기 흩어지면 어디로 갑니까?"
스님은 주먹을 맞대어 가슴에 대고 "오직 이 속에 있다" 하였다.
"그 속에 있을 때는 어떻습니까?"
"별로 대단할 것이 없느니라."
또 한 스님이 물었다.
"무엇이 대단할 것 없다는 그 도리입니까?"
스님은 눈을 똑바로 뜨고 뚫어지게 보면서, "내가 그대를 볼 때 무슨 대단한 일이 있는가" 하였다.
또 한 스님이 병들지 않는 자의 화두 〔不病者話〕 를 들어 거론하자, 스님은 꾸짖는 투로 "왜 그런 것을 묻는가" 하고는 이내 대중에게 말하였다.
"노승은 오늘 그대들을 위해 열반 불사를 지어 마치리라."
그리고는 진시 (辰時) 가 되어 고요히 돌아가시니 5월 15일이었다.
여흥과 도안의 두 관리가 모시고 앉아 인보 (印寶) 를 봉하였는데 스님의 안색은 보통때와 같았다. 여흥 군수가 안렴사 (按廉使) 에게 알리고 안렴사는 조정에 고했다.
스님이 돌아가실 때, 그 고을 사람들은 멀리 오색 구름이 산꼭대기를 덮는 것을 보았고, 또 스님이 타시던 흰 말은 3일 전부터 풀을 먹지 않은 채 머리를 떨구고 슬피 울었다. 화장을 마쳤으나 머리뼈 다섯 조각과 이 40개는 모두 타지 않았으므로 향수로 씻었다. 이때에 그 지방에는 구름도 없이 비가 내렸다. 사리가 부지기수로 나왔고, 사부대중이 남은 재와 흙을 헤치고 얻은 것도 이루 셀 수 없었다. 그때 그 고을 사람들은 모두 산 위에서 환히 빛나는 신비한 광채를 보았고, 그 절의 스님 달여 (達如) 는 꿈에 신룡 (神龍) 이 다비하는 자리에 서려 있다가 강으로 들어가는 것을 보았는데, 그 모습은 말과 같았다. 문도들이 영골사리를 모시고 배로 회암사로 돌아가려 할 때에는 오래 가물어 물이 얕지 않을까 걱정하였다. 그런데 비는 오지 않고 갑자기 물이 불어 오랫동안 묶여 있던 배들이 한꺼번에 물을 따라 내려갔으니, 신룡의 도움임을 알 수 있었다.
29일에 회암사에 도착하여 침당 (寢堂) 에 모셨다가 8월 15일에 그 절 북쪽 언덕에 부도를 세웠는데, 가끔 신령스런 광명이 환히 비쳤다. 정골사리 한 조각을 옮겨 신륵사에 안치하고 석종 (石鍾) 으로 덮었다.
스님의 수 (困) 는 57세요 법랍은 37세였으며, 시호는 선각 (禪覺) 이라 하였다. 그 탑에는 "□□스님은 항상 스스로 말하기를, `산승은 문자를 모른다' 하였다. 그러나 그 가송 (歌頌) 과 법어 (法語) 는 혹 경전의 뜻이 아니더라도 모두 아주 묘하다"라고 씌어 있다.
이제 그것을 두 권으로 나누어 이 세상에 간행하게 되었으니, 스님의 덕행은 진실로 위대하다. 실로 이 빈약한 말로 전부 다 칭송할 수 없지만, 간략하게나마 그 시말 (始末) 을 적어 영원히 전하려는 것이다. 삼가 기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