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육모양은 통증 유발점(trigger points)과 직접적인 관련을 가지고 있다; 근육의 모양은 분할(distribution)과 정량(quantity)에 따라 결정된다.
근육들은 근다발들의 배열에 따라 다양한 모양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다양한 모양은 근육의 위치와 움직임에 연관되어 최적의 능률을 제공하게 된다. 가장 일반적인 근다발의 배열은 평행(parallel), 깃모양(pennate), 수렴(convergent), 원형(circular)으로 근육모양을 묘사한다.
또한 각각의 이러한 모양들은 하위범주를 가지게 된다.
평행 parallel이 배열은 근다발들이 근육의 장축을 따라 평행을 이루고 있다. 만약 근다발들이 근육의 한쪽 끝에서 다른 쪽 끝까지 길게 늘어져 있다면, 이는 피대근띠근육(strap muscle) 예를 들면: 봉공근(넙다리빗근)(sartorius) (그림 1.30 참조).
또한 근육의 중간이 부풀어 근복(배)(belly)을 이루고 양쪽 끝은 힘줄(tendon)로 되어 있다면, 방추근(가락모양근)(fusiform muscle)이라고 하며, 상완이두근(위팔두갈래근)(biceps brachii)이 해당된다(그림 1.30 참조).
방추근의 모양이 변형된 근육은 각 끝부분에 살집있는 근복과 중앙에 힘줄을 가진다. 그런 근육은 이복근(두힘살)(digastric)이라 하며, 악이복근(두힘살근)(digastricus)이 있다(그림 1.30 참조).
깃모양 pennate
깃근육(pennate muscles)은 깃털구조(penna=feather)와 비슷하며 힘줄에 사선으로 붙여진 짧은 근다발들로 구성되어 있다. 근육의 한쪽 힘줄만 발달되면 반깃근(unipennate)이라 하며 다리의 장족지굴근(긴발가락굽힘근)(flexor digitorum longus)이 있다(그림 1.30 참조).
만약 가운데에 힘줄이 발달되고 근섬유가 양쪽에서 사선으로 부착되면 쌍깃근육(bipennate)이라고 하며 좋은 예로 대퇴직근(넙다리곧은근)(rectus femoris)이 해당된다(그림 1.30 참조). 여러개의 힘줄이 발달되어 사선으로 근육 안에 모여지게 되면 뭇깃근육(multipennate)이라 불린다; 가장 좋은 예로는 삼각근(어깨세모근)(deltoid)의 중앙부분이다(그림 1.30 참조).
수렴 convergent
근다발의 넓은 기시가 한 개의 힘줄을 향해 모여드는 삼각형 모양의 근육은 수렴근(convergent muscle)이라고 하며, 가장 좋은 예가 대흉근(큰가슴근)(pectoralis major)이다(그림 1.30 참조).
원형 circular
근다발들이 하나의 중심에 동심원으로 배열되는 근육이며 원형근(circular)이라 불린다. 인체내의 모든 괄약근(조임근)(sphincter) 골격근은 이 형태에 속한다. 이 근육들은 수축할 때 닫혀지는 구멍을 둘러싸게 된다. 안륜근(눈둘레근)(orbicularis oculi)이 이에 해당된다(그림1.30 참조).
원형근은 수축할 때, 원래 길이의 70%까지 줄어들 수 있다. 그러므로 근섬유 길이가 길수록, 더 큰 움직임의 범위를 가지게 된다. 다른한편으로 근육의 강도는 길이가 아닌 근섬유 전체 숫자에 달려있다. 그러므로:
1. 긴 평행근(parallel) 섬유를 가진 근육은 최대 관절가동범위를 공급하나, 항상 최고의 강도는 아니다.
2. 깃근육(pennate), 특히 뭇깃근육(multipennate)은 대부분의 근섬유를 쌓았다. 이런 근육들은 긴 평행근육보다 짧으나, 더욱 강한 수축력을 보이기도 한다.
'건강, 한의(漢醫, 韓醫) > Muscle & Fitne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몸의 지렛대 Leverage 움직임 (0) | 2012.08.15 |
---|---|
근육의 그룹 움직임 -주동근 길항근 협력근 (0) | 2012.08.15 |
골격근 (0) | 2012.08.15 |
신체부위 (0) | 2012.08.14 |
만화로 보는 근육의 활동 (0) | 2012.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