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한의(漢醫, 韓醫)/Muscle & Fitness

몸의 지렛대 Leverage 움직임

윤지환 철학연구소 2012. 8. 15. 11:00

 지렛대 Leverage

신체에서 뼈, 관절, 근육은 움직임에 필요한 최적의 힘, 가동범위,
속도를 제공하기 위하여 지렛대 역할을 하게 된다.

 

근육은 힘점(effort)으로, 뼈는 움직이는 동안 신체부위의 무게를 지탱하며 관절은 받침점(fulcra, fulcrum) 역할을 하게 된다.

받침점에 가까이 부착된 근육은 더 멀리 부착된 근육보다 상대적
으로 약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더 큰 가동범위와 속도를 제공하게 된다; 지렛대 길이는 움직일 수 있는 부착점을 기준으로 거리를 커지게 하기 때문이다. 그림 1.34 의 고관절 내전(adductors)은이러한 관계를 설명해준다. 더 큰 무게를 움직이기 위하여 위치한 근육, 장내전근(adductor longus)은 이러한 경우에 기계적 잇점(mechanical advantage)을 갖는다. 비록 더 많은 거리를 통해서 더 빠르게 무게를 움직일수 있을지라도, 받침점에 가까이 부착된 근육은 기계적 불이익(mechanical disadvantage)을 갖는다.

 

 

 

 

 

 

 다음은 인체를 예로 들어 제1형, 제2형, 제3형의 대한 지렛대 그림을 묘사하고 있다.

 

 

 

 그림 1.36: 제2형 지렛대:
받침점-작용점-힘점으로 위치되어 있다. 가장 좋은 예는 일륜차(wheelbarrow)이다. 신체에서 좋은 예는 땅위에 서 있을 때 뒤꿈치(heels)를들어 올리는 행동이며 발이 딛고 있는 땅이 받침점, 몸무게가 작용점, 장딴지 근육(calf muscles)이 힘점이다.
제2형 지렛대는 속도와 움직임의 범위가 힘을 위하여 희생된다.

 

그림 1.37: 제3형 지렛대:
작용점-힘점-받침점으로 위치되어 있다. 가장좋은 예는 핀셋이다. 몸에서 좋은 예는 근골격계운동이 포함되며 전완(forearm)을 굴곡시키는동작으로 물건을 잡는 손이 작용점, 상완이두근(biceps brachii)이 힘점, 주관절이 받침점이다.
제3형 지렛대는 힘이 속도와 움직임의 범위를위하여 희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