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한의(漢醫, 韓醫)/Muscle & Fitness

근육의 부착muscle attachment

윤지환 철학연구소 2012. 8. 15. 11:07

 근육의 부착muscle attachment

근육이 뼈나 다른 조직에 부착하는 방법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부착하게 된다. 살갗부착(fleshy attachment)이라고 하는 직접적인 부착은 근주막과 근외막이 골막뼈막(periosteum), 연골막(perichondrium), 관절낭(joint capsule), 피부하 결합조직(예로 안면 표정근육의일부)과 융합되는 곳에서 볼 수 있다.


간접적인 부착은 근육의 결합조직성분들이 힘줄을 형성하기 위한 콜라겐(collagen) 섬유묶음에서 볼 수 있으며 훨씬더 흔하다. 힘줄 부착의 형태는 다음과 같다.

 

힘줄 tendon 과 건막널힘줄 aponeurosis
근막(muscle fascia)은 근육의 결합조직으로, 근육의 끝부분에서 함께 합쳐지고 근육 끝을 넘어 뻗어나가면서 힘줄(tendon)이라고 불리는 둥근 속묶음(cord) 또는 편평한 밴드; 또는 얇고, 편평하고 넓은 건막(aponeurosis)으로서 근육 끝부분에 연결되어 있다.  힘줄 또는건막은 뼈 또는 연골, 다른 근육의 근막(fascia), 봉선(raphe)라고 불리는 섬유조직 띠에 근육을 고정시킨다. 힘줄의 편평한 부착(patch)은 마찰되기 쉬운 근육의 체부를 형성하게 된다.
예를 들어, 승모근(trapezius)의 심부면은 견갑골(scapula)의 견갑극(spine)과 마찰을일으킨다.

 

근육의 격막(사이막) Intermuscular septa
치밀한 결합 조직의 편평한 면으로 보이는 근육격막은 근육사이를 통과하며, 근섬유가 부착되는 또다른 중간 매개체 역할을 제공한다.

 

종자골(종자뼈) Sesamoid bones
힘줄이 마찰되기 쉬운 곳에서는 힘줄 속에 종자골을 발달시킬 수도 있다. 예로 발바닥의 장비골근긴종아리근(peroneus longus) 힘줄이다. 그러나 종자골은 마찰을 피하기 위하여 힘줄에 위치한다.

 

복합적 부착 Multiple attachments
많은 근육들은 각 끝부위에 두개의 부착점을 갖는다. 그러나 더 복합적인 근육들은 기시와 종지가 여러곳의 구조에 붙게 된다. 이러한부착들은 구분되며, 근육이 다른 위치에 두세개의 힘줄과 건막(aponeurosis)을 효율적으로 만들게 되며, 근육은 두개의 머리점(heads)을 가지게 된다.
예를 들어, 상완이두근위팔두갈래근(biceps brachii)은 기시점이 두개이다; 견갑골의 오훼돌기부리돌기(corocoid process)와 상완결절관절위결절(supraglenoid tubercle)이다. 상완삼두근위팔세갈래근(triceps brachii)은 세개, 대퇴사두근넙다리네갈래근(quadriceps)은 네개의 머리점을 가지고 있다.